여야는 7일 북한 무인기의 잇따른 대남 침투 사태와 관련해 군 지휘 라인의 책임론을 한 목소리로 제기하고 나섰다.
새누리당 심재철(안양동안을) 최고위원은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북한 무인기에 국방부와 군 당국이 보인 태도는 충격적이다. 늑장·부실·허위 보고에 축소·은폐 조작까지 신뢰 자체에 의문이 드는 행동이 줄줄이 나왔다”고 지적했다.
심 최고위원은 “정보 부재와 경계 실패, 허위 보고, 말 바꾸기, 우왕좌왕 등 모든 치명적 문제들에 대한 책임을 반드시 물어 다시는 이런 일이 생기지 않게 대책을 제대로 세워야 한다”고 요구했다.
최경환 원내대표는 “동서 군사 요충지와 주요 시설이 다 뚫린 충격적 사실”이라며 “이번 무인기는 울진 원전을 겨냥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하니 참 심각한 문제인데도 국방부와 합동참모본부가 내놓은 대책은 실효성이 없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홍문종(의정부을) 사무총장은 “북한 무인기 관련해 일부 야권 사람들은 배터리의 일련번호 폰트(서체)가 한글 프로그램으로 작성됐다며 조작설을 제기한다고 한다”며 “외부의 적 못지않게 내부의 적도 많이 있다는 사실을 국민 모두 기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새정치민주연합 안철수 공동대표 역시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6개월 사이 영공을 침범한 무인 항공기가 추락해 드러난 것만 세 차례로, 얼마나 많은 무인기가 수백 회, 수천 회 드나들었을지 모른다”면서 “철저히 진상을 조사해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요구했다.
김한길 대표도 “민간인 눈에만 보이는, 떨어지지 않으면 보이지 않는 무인기를 보면서 안보에 대해 정부를 믿어도 되는지, 말로만 튼튼한 안보가 아닌지 불안하다”며 “안보기관의 획기적 변화가 없으면 국민은 계속 불안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전병헌 원내대표는 “작전 실패는 용서해도 경계에 실패한 지휘관은 용서할 수 없다는 말이 있는데 경계 실패도 모자라 축소 은폐했다”며 엄중한 문책과 재발 방지책 마련을 촉구했다.
/임춘원기자 lc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