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 지방선거에서 외국인 유권자들의 표심이 선거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지 주목되고 있다.
28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선거인명부에 따르면 외국인 유권자수는 4만8천428명으로, 지난 2010년 5회 지방선거(1만2천899명) 때보다 네 배 가량으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인은 영주권을 얻은 뒤 3년이 지나면 지방선거(대선·총선 제외)에 참여할 수 있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시에 1만8천321명, 경기도에 1만4천239명, 인천광역시에 3천299명으로 대부분 수도권에 몰려 있다.
이어 부산광역시(1천807명), 충청남도(1천399명), 경상남도(1천266명), 충청북도(1천68명), 전라북도(1천8명), 강원도(977명), 경상북도(904명), 전라남도(802명), 울산광역시(792명), 대전광역시(668명), 광주광역시(470명), 제주특별자치도(381명), 세종특별자치시(63명) 순으로 분포돼 있다.
한편 외국인 유권자들은 내국인에 비해 선거에 관심이 적고 투표율이 떨어지는 편이지만, 결혼이주여성들을 비롯해 국내 장기 체류하는 이주민들의 경우에는 지방자치단체의 여러 정책이 주민의 삶에 영향을 준다는 점을 인식하고 선거에 적극 나서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지난달 말 창립한 한국이주여성유권자연맹은 지방선거를 앞두고 이주여성들을 상대로 투표 독려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
2년 전 결성된 재한중국동포유권자연맹도 올해 초 조직을 정비하고 서울 영등포구, 구로구를 중심으로 지역사회에서 유권자 운동을 벌이고 있다.
/임춘원기자 lc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