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창업기업들의 기술보증이 수도권과 최대 5배 이상의 격차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월호 사고로 피해를 입은 기업 가운데 특례보증을 받은 업체는 한 곳도 없어 인천기업 홀대론까지 제기된다.
12일 기술신용보증기금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인천지역 기업들의 창업기업 기술보증 비율은 전체의 4.8%에 불과하다.
기술신용보증기금은 기업의 사업상 필요한 자금조달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신용도가 낮은 창업 기업들에 대해 채무이행을 보증하고 있다.
보증의 90% 이상은 제조업에서 이뤄지고 있으며, 창업기업들은 이에 대한 지원이 절실하다.
인천의 제조업 기업 수는 2만2천183개로 전국의 6.2%를 차지하고 있지만, 보증비율은 이를 밑돌고 있다.
수도권 도시와 비교해도 3~5배의 차이가 나 업계에선 지역차별 논란마저 일고 있다.
서울의 지원 비율은 18.4%로 기업 비율인 16.4%를 웃돌고, 경기도의 지원 비율도 28.6%로 기업 비율과 동일하다.
경상도와 충청도의 경우 기업 비율에 비해 지원 비율이 높았고, 전라도의 경우 기업 비율에 비해 지원 비율이 낮았다.
또 기술신용보증기금은 세월호 침몰사고 관련 피해 특례보증을 받은 인천 기업은 단 한곳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 특례 보증 운용지침에는 세월호 참사 이후 여행·운송·숙박 등 피해우려업종의 중소기업에 대한 긴급 특례보증을 지원토록 돼 있다.
하지만 인천지역은 여행, 운송, 숙박업종에 종사하는 기업수가 많아 충분히 지원이 가능했음에도 모두 탈락하고 모두 서울(5개 기업)과 경기(1개 기업)에게 돌아갔다.
새정치민주연합 신학용 의원(인천계양 갑)은 “신용등급은 낮지만 기술력이 좋은 기업들에 대해 지원을 하는 기술보증이 지역을 차별하는 문제가 드러났다”며 “집중조사를 통해 지역차별을 근절하는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했다. /김상섭기자 k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