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2011년 5월 착공, 2012년 10월에 준공된 경기친환경농산물센터에 대해 경기도와 광주시는 ‘2013년 1천9억을 시작으로 2015년 1천600억, 2020년 3천700억 유통을 목표로 하고 있다. 국내 전체 친환경 농산물의 10%가량이 이 곳 친환경농산물유통센터를 거치게 될 것과 수도권 식품물류를 위한 최적의 요충지’라고 홍보했다.
또 광주도자기엑스포장과 접해있어 지역의 새로운 관광명소로 부각되고, 유통센터 건립으로 상주인력이 2천여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유동인구도 1일 1만명 이상이어서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큰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각종 유통시설에 필요한 인력수요도 광주지역내 1천여명 이상의 고용창출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예측했다.
그러나 광주시의회 이현철 의원은 “현재 경기친환경농산물센터는 223명의 근무자 중 광주시 거주자는 86명으로 38% 정도이며, 총 거래량 1천45억2천만 원 중 광주시 관내 실적은 5억7천만 원으로 0.5%에 그친다”고 광주시의회 행정사무 감사에서 지적했다.
따라서 당초 김문수 경기지사와 조억동 광주시장이 예측한 지역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 효과는 극히 미미하다는 분석이다.
이 의원은 “경기친환경농산물센터를 통해 광주시가 경기도의 앵무새 역할만 하다가 결국 실익은 없고 교통량 증가와 지미개발을 위한 하수물량만 먹는 문제투성이 껍질만 남게 됐다”고 지적했다.
/광주=박광만기자 kmpark@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