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이 8일 유승민 원내대표의 거취 문제를 결정하기 위한 긴급 의원총회를 개최하기로 하면서 어떤 식으로 최종 결론이 내려질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김무성 대표는 7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긴급 최고위원회의 직후 브리핑에서 “내일 오전 9시 의총 소집을 요청했다”면서 “최고위원회의에서 새누리당의 미래와 박근혜 정권의 성공을 위한 원내대표 사퇴 권고 결의안 채택을위한 의총을 개최하기로 결정했다”고 말했다.
그는 사퇴 권고 결의안 결정 방식에 대해서는 “가능하면 표결로 가지 않도록 노력하겠다”면서 “결의문을 만들어서 의총에서 발표하고 의원들의 동의를 구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유 원내대표 개인에 대한 신임과 불신임 투표 행위는 가능한 피해야겠다고 해서 의원들의 총의를 모은 권고 결의문을 채택하는 형식을 취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이와 관련, 이날 유 원내대표는 자신의 사퇴 권고 결의안을 채택하기 위한 8일 의원총회에 참석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유 원내대표는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내일 의총에는 참석하지 않는다”며, 의총이 사퇴 권고안을 전제로 개최되는 데 대해서는 “방식에 대해서는 전혀 관여할 생각이 없다”고 말했다.
또 사퇴 권고안에 대한 표결이 필요한 게 아니냐는 질문에 대해서도 “어떤 결정이든 의총의 결정을 따를 계획”이라고 답했다.
하지만 당내 일각에는 여전히 “유 원내대표가 쫓겨나듯 나가선 안되고 거취를 스스로 결정하게 해 줘야 한다”고 주장하는 일부 의원들이 의총 자체를 반대하거나 개최하더라도 의원 과반의 불신임이 있을 때에만 사퇴가 가능하다는 주장을 내놓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충돌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에 따라 당 지도부는 이러한 입장을 가진 의원들에게 개별적으로 연락을 취해 설득에 나서 8일 의총 개최 전까지는 의총 방식에 대한 의견이 정리될 가능성도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한편 이러한 가운데 새누리당은 7일 오후 유승민 원내대표 거취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8일 오전 소집한 긴급의원총회의 안건명을 변경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당 관계자는 이날 “의총 안건명이 ‘유승민 원내대표 거취에 관한 논의의 건’으로 변경됐다”고 밝혔다.
이는 비박계 재선 의원들을 중심으로 당 일각에서 유 원내대표의 사퇴를 기정사실화하는 듯한 안건명이 부적절하다는 지적을 내놓자 당 지도부가 뒤늦게 이를 수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8일 긴급 의총에서는 당초 최고위원회의에서 결정된 유 원내대표 사퇴 권고 결의안에 대한 논의가 이뤄질지도 불투명한 상황이 됐으며, 일각에서는 김 대표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표결을 통한 결론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는 관측도 내놓고 있다./임춘원기자 lc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