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관
金 “이승만 건국 공로 재평가”
文 “사회주의 계열 독립운동 인정”
대북이슈
文 “5·24 해제 공동요구 하자”
金 “북한 지뢰도발 잊었나”
정치현안
金, 완전국민경선제 상품화
文, 국회 정개특위 논의 착수
새누리당 김무성,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가 근현대사 역사관, 대북 정책, 공천·선거제도 등 주요 사안마다 뚜렷한 차이를 드러내며 ‘정면 충돌’ 양상을 보이고 있다.
우선 김 대표는 이승만 전 대통령의 건국과 한미동맹 강화의 공로를 재평가해야 한다는 주장을 연일 내놓고 있다.
김 대표는 17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어린 학생이 부정적 역사관으로 쓰인 역사교과서로 우리 현대사를 배우는 것을 막아야 한다”면서 “미래지향적이고, 국민 통합을 추구하는 긍정적 역사관에 입각한 현대사를배울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달 방미 중에는 ‘낙동강 전투 영웅’ 월턴 워커 장군의 묘역에 큰절을 올리고, ‘중국보다는 미국’이라는 메시지를 내놓으며 이념 논쟁에 불을 지폈다.
국민 통합 차원에서 광복절을 앞두고 이승만 전 대통령 사저와 백범 김구 선생 묘역을 모두 참배하긴 했지만 확연히 근현대사의 평가를 오른쪽으로 옮기는 데 무게를 싣고 있다.
반면 취임 후 줄곧 ‘안보 정당’의 면모를 부각시키던 문 대표의 경우 최근 들어 다분히 진보 진영을 겨냥한 메시지가 부쩍 늘었다.
문 대표는 17일 ‘고 장준하 선생 40주기’ 추모식에 참석했으며, 앞서 13일에는 광복절 첫 행보로 김구 선생 묘역을 참배했다.
또 광복절 당일 페이스북을 통해 독립유공자 서훈에서 누락된 사회주의 계열 독립운동가에 대한 재평가를 요구하기도 했다.
이승만 전 대통령을 ‘국부’로 예우하자며 그의 건국 공로를 부각시키는 김 대표와는 달리 임시정부의 정통성을계승한다는 진보 진영의 역사 인식을 투영한 것으로 해석된다.
또 16일 광복 70주년 기자회견에서 남북관계의 개선을 통한 경제 도약, ‘남북 경제통일’을 통한 성장 동력 확보를 담은 ‘한반도 신경제지도’ 구상을 선보이기도 했다.
문 대표는 최고위원회의에서 “내일은 김대중 전 대통령의 서거 6주기로서 평생을 민주주의에 바쳐 이루려고 한 게 한반도 평화와 경제 번영”이라면서 “민주주의가 후퇴하고, 경제 위기에 평화 외교마저 위태로운 지금 김 전 대통령을 다시 생각하게 된다”고 밝혔다.
특히 여야 대표가 박근혜 대통령에게 천안함 사태 이후 대북 제재 방침을 담은 ‘5·24 조치’ 해제를 요구하는 공개서한을 보내자고 제안했다.
이에 대해 김 대표는 “폭침으로 사망한 46명의 천안함 해병 장군을 상기하고, 최근 비무장지대 지뢰 도발을 생각하면 그러한 제안은 적절치 않다”고 일축하며 대북 정책에도 극명한 대조를 이뤘다.
정치 현안에 대해서도 팽팽한 입장차를 견지하고 있다.
김 대표는 노동개혁에 대한 박 대통령의 특별 담화문에 별표를 쳐가며 열독할 정도로 현 정부와 코드를 맞추면서도 친박계 주류와 각을 세울 수도 있는 완전국민경선제를 고유 상품화하고 있다.
이에 반해 문 대표는 오픈 프라이머리와 권역별 비례대표제를 일괄 타결하는 이른바 ‘빅 딜’을 역제안하면서 내년 총선을 앞두고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가 본격 논의에 착수한 상태다.
/임춘원기자 lc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