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수 감소로 대학의 모집 인원이 줄어들면서 올해 고교 2학년이 대학에 진학하는 2018학년도 대입에서 수시 비중이 처음으로 70%를 넘어서게 된다.
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부터 절대평가로 전환되는 영어 영역은 수시에서는 최저학력기준으로, 정시에서는 대부분 대학이 비율을 반영하는 식으로 활용한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 대학입학전형위원회는 전국 197개 4년제 대학의 2018학년도 대학입학전형 시행계획을 27일 발표했다.
2018학년도 전체 모집인원은 35만2천325명으로 2017학년도보다 3천420명 줄어든다.
수시모집으로 선발하는 인원은 25만9천673명으로 전년보다 1만1천4명 늘어나 전체 모집에서 수시모집 비중은 역대 최대인 73.7%다.
전형별로는 학교생활기록부(학생부) 교과와 종합 등 학생부 중심 전형의 비중이 커지고 있다. 학생부 중심 전형 선발 인원은 전체 모집인원의 63.9%인 22만5천92명이다.
수시모집에서는 학생부 중심 전형으로 86.3%를 뽑는 반면 정시모집에서는 학생부 중심 전형 비중이 0.9%에 그쳤다.
대신 정시모집에서는 대학수학능력시험 위주 전형으로 86.7%의 학생을 뽑아 수시모집에서는 학생부 중심 전형이, 정시모집에서는 수능 위주 선발 방식이 정착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시모집에서 논술시험을 보는 학교는 31개교, 모집인원은 1만3천120명이다.
또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가구 학생, 농어촌 학생 및 국가보훈대상자 대상 등 사회적 배려 대상자를 대상으로 한 ‘고른기회전형’과 지역인재의 대학 입학 기회를 늘리기 위한 ‘지역인재 특별전형’은 각각 4만306명과 1만931명으로 전년도보다 811명 늘어난다.
대교협은 시행계획을 고등학교와 시도교육청에 배포하는 한편 다음달 중 ‘대입정보포털’ 홈페이지(adiga.kr)에도 소개할 예정이다.
/이상훈기자 l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