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4 (금)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정치가 아닌 사람들의 생활로 분석한 한국현대사

1950년~80년까지 4권 책 발간
3년동안 각 분야 32명 필진 참여
한국전쟁 당시 모습 엿볼수 있어
북한 생활 문화 변화도 곁들어

 

195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10년 단위 로 한국 현대사를 꼼꼼히 짚은 ‘한국현대 생활문화사’ 시리즈는 정치적 격변과 세계사적 혼란 속에서도 꿋꿋하게 삶을 이어온 우리들의 부모님, 삼촌·이모들의 이야기를 담았다.

지금껏 한국현대사는 정치적 격변에만 주목해 서술돼 왔다면 ‘한국현대 생활문화사’는 정치사를 포함해 동시대인의 삶에 영향을 끼친 정치·경제·사회·문화의 모든 요인을 주목해 그 안에서의 삶의 양상들과 변화를 포착한다.

기획부터 집필까지 총 3년의 시간 동안 영화·음악·스포츠·음식 문화 등 생활문화 분야부터 농업·전쟁·경제·북한·민중운동 등의 역사학계의 주류 분야까지 다양한 각 분야 32명의 필진이 참여해, 정치사 위주로 쓰여진 통사를 넘어서는 새로운 관점의 한국현대사 교양서를 선보이기 위해 공을 들였다.

한국전쟁, 4·19혁명과 5·16군사쿠데타, 유신체제의 압제와 민주화운동 등 195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의 정치적 격변은 세계 어느 나라에서도 찾아보기 힘든 한국현대사의 특징이다.

하지만 정치적 관점에만 머물면 한국현대사를 살아간 사람들의 삶이 묻혀버리기 십상이다. 따라서 ‘한국현대 생활문화사’는 한국현대사를 보는 새로운 시각을 제시한다.

이 책은 한국전쟁이라는 민족사 최대의 사건에서 가장 큰 고통의 겪었던 여성들의 삶 혹은 당대 사람들의 욕망을 그리거나 징병제와 짝해 벌어진 의무교육제도에 주목하는 등 전쟁의 배경·원인·경과 대신 당대의 생활상을 집중적으로 파고든다.

이는 1960년대 4·19혁명, 1970년대의 유신, 1980년대의 민주화운동이라는 큰 이슈를 대할 때도 변함없이 적용된다. 학생들만 부각되던 4·19혁명에서 도시빈민의 참여를 조명하거나 경제개발 과정의 서민들이 체감하는 경제 분위기를 전한다.

생활문화사의 영역에서 놓치지 쉬운 거대서사는 책의 시작 부분인 ‘크게 본 OOOO년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배려했다. 이를 통해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다방면으로 펼쳐진 주제들을 한국현대사의 큰 흐름 속에서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책은 한국 뿐만 아니라 북한 생활문화의 주요한 변화상도 2~3개의 장으로 비중 있게 다뤄 남과 북을 함께 살펴볼 수 있게 했다.

1950년대 북한 전쟁고아 출신들의 독일 유학생활, 1960~70년대 북한으로 건너간 재일조선인들의 삶, 보천보전자악단의 북한 내 영향력, 북한 여성들의 삶의 변화 등 흥미로운 주제로 북한 생활문화사를 선보인다.

특히 당대 한국과 북한등 비교해가며 보는 재미도 크다. 새마을운동과 비슷하게 전개된 북한의 ‘천리마 운동’, 88 서울올림픽에 대응해 개최된 세계청년학생축전을 앞두고 변화하 평양의 모습 등 체제경쟁의 시기에 남북한 사람들이 살아가는 모습은 크게 다르지 않았다는 사실에 놀라게 될 것이다.

독자들은 ‘한국현대 생활문화사’를 통해 그간 정치사 위주로만 접했던 한국현대사 곳곳에 배어 있는 ‘우리들이 살아온 이야기’를 함께 읽는 재미를 느낄 수 있을 것이다./민경화기자 mkh@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