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이 이재용 부회장의 공언대로 그룹 컨트롤타워인 미래전략실 해체를 위한 기능 재편 작업에 곧 착수할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 내부적으로는 미래전략실을 축소해 그룹 주력인 삼성전자 하부조직으로 흡수 통합하는 방식, 그룹 전반의 경영현안과 리스크 관리를 맡을 위원회 형태의 별도 조직으로 재편하는 방식 등이 다양하게 논의될 전망이다.
7일 삼성에 따르면 이 부회장은 전날 최순실 국정농단 국정조사 1차 청문회에서 “국민에게 부정적인 인식이 있다면 (미래전략실을) 없애겠다”고 밝혔다.
삼성 미래전략실은 1959년 이병철 창업주 시절 회장 비서실에서 출발해 1998년 IMF 외환위기 당시 그룹 구조조정본부(구조본), 2006년 전략기획실, 2010년 현재의 미래전략실로 명칭을 바꿔가며 60년 가까이 명맥을 유지해왔다.
미래전략실은 전략팀, 기획팀, 인사지원팀, 법무팀, 커뮤니케이션팀, 경영진단팀, 금융일류화지원팀 등의 편제로 이뤄져 있으며, 각 계열사에서 파견된 약 200명의 임원과 고참급 직원이 근무하고 있다.
삼성의 한 관계자는 “각 계열사가 자기 허물을 제대로 인식할 수 없기 때문에 삼자 입장에서 체크하는 그룹의 경영진단 기능은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청문회 등을 통해 도마에 오른 대외로비 관련 조직은 축소 또는 폐지할 가능성이 커졌다.
한편으로는 삼성전자가 이미 주주환원 정책 발표를 통해 지주회사 체제 전환 검토를 공식화했기 때문에 중장기적으로는 지주회사 전환이 미래전략실의 대안이 될 것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이상훈기자 l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