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많던 옛이야기는 어디로 갔을까’
경기도박물관 특별전 ‘그 많던 옛이야기는 어디로 갔을까?’가 오는 10월 29일까지 박물관 기획전시실에서 열린다.
경기도 31개 시·군에서 전해져 내려오는 옛이야기 중 익숙하고 교훈적인 이야기 20편을 선정해 소개하는 전시는 신비한 이야기, 아름다운 이야기, 행복한 이야기, 자랑스러운 이야기 등 총 4개의 주제로 구성된다.
신화 속 이야기를 소개하는 ‘신비한 이야기’는 건국신화인 ‘단군신화’를 비롯해 해와 달의 기원을 다룬 ‘해와 달이 된 오누이’, 부모에게 버림받는 무속의 신 ‘바리데기공주’, 동물이 인간과 결혼하는 ‘구렁덩덩 신선비’ 등을 다룬다.
사랑과 우정을 주제로 한 ‘아름다운 이야기’에서는 ‘공민왕과 노국대장공주’, ‘오성과 한음’을 비롯해 용인 지역의 ‘생거진천 사거용인’과 ‘신갈천의 유래’를 살펴본다.
‘행복한 이야기’에는 여성과 효심을 주제로 한 ‘방귀쟁이 며느리’, ‘박씨부인전’, ‘허난설헌’, ‘효자 최루백’ 등을 소개하며 신발귀신 야광귀, 도깨비방망이를 체험할 수 있는 공간도 마련했다.
‘자랑스런 이야기’는 전쟁 영웅과 경기 청백리을 주제로 ‘남한산성 서흔남’, ‘이완장군과 권율장군’, ‘황희와 맹사성’ 등 역사인물의 이야기를 다룬다.
경기 옛이야기에 등장하는 인물과 사건 관련 유물과 작품도 소개된다. ‘한음 이덕형 초상’, ‘황희 초상’ 등 초상화를 비롯해 ‘삼국유사’, ‘고려사절요’ 등 역사책, ‘허난설헌 시집’, ‘구운몽’, ‘소설 춘향가-옥중화’, ‘오성과 한음 실기’ 등 고전소설, ‘도깨비 기와’, ‘부적’ 등 총 50여점의 유물이 전시된다.
현대 작품으로 김성복, 윤석남, 라오미, 홍영우, 정하정, 조하윤, 우나영, 양선희 등 9명의 작가의 조각, 설치, 회화가 전시된다.
한편 박물관 앞마당에는 ‘어린이 미로’가 설치돼 다양한 놀이를 즐길 수 있으며 홍난파와 윤석중의 동요, 경기도 전래동요 ‘방귀타령’ 등을 듣는 체험코너 ‘옛 이야기와 노래’도 운영된다.
여름방학을 맞은 어린이들이 참여할 수 있는 교육·행사 등 연계 프로그램도 운영한다.
‘전시실 속 비밀 찾기’를 주제로 ‘오토마타 만들기’, ‘몸으로 전래동화 읽기’, ‘오토마타로 전래동화 읽기’가 진행되며 ‘옛이야기 연극 공연-방귀쟁이 며느리’가 전시기간 동안 이어진다.
교육·행사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경기도 박물관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문의: 031-288-5400)
/민경화기자 mk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