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당권후보 3차 TV 토로회
더불어민주당 당권주자들이 선거 종반전에 접어들면서 ‘사생(死生) 공방전’을 펼치는 모양새다. 15일 새벽까지 이어진 3차 TV 합동토론회에서 송영길 후보는 ‘창’, 김진표·이해찬 후보는 ‘방패’로 팽팽하게 맞섰다.
이날 송 후보는 이 후보가 내세운 ‘20년 집권론’을 겨냥, “국민이 선택해야 집권할 수 있다. 자칫 교만하게 비칠 염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2012년 당 대표 당시 정권교체에 실패한 경험이 있는 만큼 정권 재창출 목표에 겸허해야 한다. 문재인 정부의 성공을 위해 (2선으로 물러나 노력하는 게 맞다”고 주장했다.
김 후보 역시 이 후보의 최근 ‘문 실장’ 발언과 관련해 “잠재의식 속에 문 대통령이 비서실장으로 아직 있는 것 아니냐”고 따졌다.
이에 대해 이 후보는 “당시 직책을 말한 것뿐이다. 누군가 자꾸 꼬투리를 잡고 있다. 문 대통령과는 30년간 민주화 운동을 함께한 동지”라며 각별한 관계를 강조했다.
이번 토론회에서도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핫 이슈였다.
송 후보는 이 사안에 대해 이 후보와 김 후보를 동시에 싸잡는 분위기였다.
김 후보가 앞서 “이 지사가 결단을 내릴 필요가 있다”며 사실상 탈당을 요구한 것에 대해 송 후보는 “이 후보의 측근인 이화영 전 의원이 경기도 부지사로 재임하고 있기 때문에 전당대회에 그것을 쟁점으로 끌어들인 건 이 후보를 공격하려는 선거전략”이라고 포문을 열었다. 그러면서 “이제 그 이야기는 그만하자. 전파 낭비”라고 김 후보를 몰아쳤다.
이 후보 역시 “정치를 하면서 우리가 좀 솔직해야 한다. 저를 비판하려는 프레임에서 나온 것으로 보인다”고 거들었다.
이에 대해 김 후보는 “권리당원들이 SNS를 통해 끊임없이 이 문제를 제기한다”며 “당 대표가 되겠다는 사람이 당 지지율에 영향을 주는 일에 대답하지 않을 수 없었다”고 해명했다.
국회 특수활동비와 관련해서는 세 후보 모두 ‘전면적 폐지’를 표명했다.
송 후보는 “국정원 등 다른 부처 특활비를 감시하는 국회인데 스스로 모범을 보여야 한다”고 말했고 김 후보는 “증빙없는 지출은 없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 후보는 “일단 폐지하고 꼭 필요한 부분이 있으면 검증을 거치는 게 좋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20대 국회 특활비 내역을 공개하라는 재판부 판결에 국회가 항소한 것을 두고도 세 주자 모두 이구동성으로 “항소할 이유가 없다”는 의견을 밝혔다.
/최정용기자 wesp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