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6 (수)

  • 맑음동두천 24.7℃
  • 맑음강릉 25.5℃
  • 맑음서울 26.3℃
  • 맑음대전 25.8℃
  • 구름많음대구 26.5℃
  • 구름많음울산 22.2℃
  • 구름많음광주 25.4℃
  • 흐림부산 22.2℃
  • 구름많음고창 23.1℃
  • 흐림제주 22.5℃
  • 맑음강화 23.7℃
  • 맑음보은 23.6℃
  • 맑음금산 24.7℃
  • 구름많음강진군 23.3℃
  • 구름많음경주시 24.0℃
  • 흐림거제 21.4℃
기상청 제공

광명시 LPG충전소 이전허가 보도 '민감한 반응'

광명시가 LPG충전소 이전허가 보도와 관련, 정정보도를 요구하는 등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본보 6월 14일자 13면 보도)
주민들의 동의를 요하는 것은 주유소에 대한 규정이지 충전소는 해당되지 않으며 재산상의 피해도 없다는 게 시의 주장이다.
그러나 유사시 그 피해 정도가 상식적으로도 주유소보다는 충전소가 훨씬 크며 따라서 충전소 허가 기준이 더 까다로와야 함에도 이같은 주장을 펴고 있어 도무지 납득이 가지 않는다.
게다가 시는 주택지가 밀집돼 있는 지금의 철산동 충전소를 시청에서 승용차로 10여분의 거리에 있는 하안1동 그린벨트 구역으로의 이전을 허가했다. 시가 주장하는 이른바 시 외곽지역이다. 이 역시 한 치 앞을 보지못하는 근시안적 탁상행정임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이전지역이 물론 지금은 그린벨트지역이라고 하나 조만간 급속한 개발 붐에 편승해 상가와 주택 등이 우후죽순 들어설게 자명하다. 그렇다면 그때가서 또다시 막대한 예산을 들여 주민의 안전을 위해 또다른 장소로 옮기겠다고 할 것인가. 이전을 허가해준 시설물이 충전소가 아니라면 문제는 다르다. 일단 유사시 폭발했을때 그 위력이 엄청나기에 문제의 심각성이 있는 것이다.
P씨라는 한 네티즌은 시 홈페이지를 통해 “시청의 모 과장에게 가스충전소 허가 여부를 문의했을때 허가해준 사실이 없다고 한 며칠후 허가가 났다”며 분개해 하고 있다.
득보는 자가 있으면 잃는 자가 있게 마련이고 웃는 자가 있으면 반드시 우는 자가 있기 마련이다.
시는 규정을 내세우기에 앞서 위험시설인 만큼 시민들의 안전은 물론 충분한 여론수렴과 몇 년뒤 닥쳐올 주변 환경여건도 심도있게 검토했어야 옳았다.
여론을 가감없이 보도한 언론에 불만을 토로할 것이 아니라 지난 98년 9월 당시 98명의 사상자와 106억원의 재산피해를 낸 부천시 가스충전소 폭발사고를 뼈아픈 교훈으로 삼아 이러한 사고가 다시는 재발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