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100억원대 영업적자를 본 한국조폐공사가 비상 경영 체제에 돌입했다.
한국조폐공사는 8일 대전본사에서 위기극복 특별 대책 경영전략 회의를 열었다.
반장식 조폐공장 사장은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여권 발급 급감 등 경영여건 악화가 지속되고 있으며 창립 70주년을 맞아 미래 성장동력 발굴이 시급하다”며 비상경영을 선언했다.
지난해 조폐공사 매출액은 5317억원으로 전년보다 1.3% 늘었지만 142억원의 영업적자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영향으로 외국 여행이 제한되면서 여권 발급량이 예년보다 70% 이상 줄어든 영향이 크다고 공사 측은 분석했다.
코로나19 피해 조기 극복 지원을 위해 모바일 지역사랑상품권의 수수료를 0.3%로 대폭 낮춘 것도 수익에 영향을 미쳤다.
또 귀금속 소재 메달(불리온 메달) 영업 관련, 거래업체에 대한 매출채권 회수 지연에 따른 대손충당금 적립도 한 요인으로 꼽힌다.
불리온 메달 해외 수출 파트너인 이 업체는 국제 금값 및 원화 환율의 급격한 변동, 매출 확대를 위한 무리한 영업 추진 등으로 손실을 낸 것으로 알려졌다.
조폐공사는 이 업체와 변제약정을 맺고 매출채권 회수를 추진하는 한편 6개 비상 경영 태스크포스(TF)를 구성했다.
조폐공사는 이와 함께 경비절감과 불요불급한 투자 조정 등 경영 합리화에도 적극 나서기로 했다.
반장식 사장은 “조폐공사가 창립 70주년을 맞아 거센 도전에 직면해 있다”며 “경영혁신을 통해 위기를 기회로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오재우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