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간 의료 인프라 격차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방 의료원의 시설 투자만큼이나 인력 확충을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지자체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바로 공공의료 서비스 확충이다.
하지만 실상은 현재 있는 지방의료원조차도 인력난과 낙후된 시설로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지난해 10월 신현영 국회의원(더민주·비례)이 보건복지부의 ‘2019년 34개 지방의료원 의사·간호사 인력 현황’자료를 분석해 공개한 자료에 의하면 국내 34개 지방의료원 의사들의 평균 근속은 5년 1개월인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의 경우 6개의 의료원 중 수원병원(9.1년)과 포천병원(6.0년)을 제외한 나머지 4곳의 병원의 의사들은 지방의료원 의사들의 전국 평균 5년 1개월보다도 적었다.
특히 안성병원 의사들의 평균 근속은 3.3년으로 전국과 비교했을 때에도 낮은 편에 속했다.
조승연 전국지방의료원연합회장은 지난 달 30일 강득구·이광재 의원 등이 공동주최한 ‘지역공공의료 강화를 위한 정책 토론회’에 참석해 “인구 구조 변화로 인한 의료수요의 증가, 20년 가까이 동결돼 있는 의사 정원 등으로 의료 인력 자체가 부족하다”며 “이는 지역 의료체계의 의료격차 심화를 불러와 지역 균형발전의 가장 큰 저해요소가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수요에 비해 공급되는 의사 인력이 적어 높아지는 의사들의 임금에 지방의료원들의 운영에 무리가 되고, 이는 결국 낮은 서비스로 이어져 지역 주민들의 만족도가 떨어지는 악순환이 지속된다는 것이 그의 설명이다.
이에 전문가들은 결국 지방의료원의 시설 확충만큼이나 의대 정원을 늘려 의료인력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진단했다.
김진현 서울대 간호대 교수는 “지방 의료원의 시설 투자도 매우 중요하지만 그보다도 그 시설을 운영할 의사가 있어야 한다”면서 “현재는 의사가 전체적으로 너무 부족해서 지방의료원이 병원을 지어도 의사를 고용하려면 연봉만 5~6억씩 지불해야 한다. 지방의료원을 운영하는 지자체가 부담하기에는 턱없이 높은 연봉”이라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또 지방의료원의 시설확충과 의대 정원을 늘려 육성하기까지의 긴 시간 동안 단기적인 계획으로 ‘공공임상교수 제도’를 제안하기도 했다.
‘공공임상교수 제도’란 대학병원 소속의 임상교수 정원을 늘린 후 이들 중 일부를 지방의료원 등 인력확보가 어려운 공공보건의료기관에서 일정기간 근무하도록 파견하겠다는 의도로, 30일 열린 토론회에서 처음 제안된 제도다.
조승연 회장은 경기신문과의 통화에서 “장기적으로는 의사 수와 규모 확충, 더불어 일하고 싶은 지방의료원을 만들어야 하나 의사 인력 수급이 시급한 문제”라며 “교수를 원하는 사람들에게 대학 교수가 될 수 있다는 희망이라는 이점을 제공하면서 이들을 지역으로 배치하는 것이 유일한 현실적인 방안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교육부에서 의대 교수의 정원을 늘려줘야 하고, 그에 대한 예산을 기재부에서 허가해줘야 하는 등 현재로서는 이 사업의 주체는 결국 중앙정부"라면서도 "수혜자들은 지역 주민들이기 때문에 지자체장들 역시 정치적인 역량을 발휘해 중앙정부에 지속적인 건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와 국립대학병원협회 전국지방의료원연합회는 '공공임상교수제도'에 대한 용역을 3개월 간 실시한 후, 이를 바탕으로 정부에 공식 건의할 예정이다.
[ 경기신문 = 박환식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