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중소기업 절반 이상은 기후 위기에 따른 탄소중립을 전혀 준비하지 못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경기연구원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경기도 에너지전환을 위한 녹색금융 활성화 방안 연구’를 발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기후변화는 단순한 환경문제가 아니라 경제·금융 문제로 인식되고 있으며, 코로나19를 계기로 ESG(환경 Environmental, 사회 Social, 지배구조 Governance) 경영과 기후 리스크 관리가 금융기관과 기업의 핵심 전략으로 떠올랐다.
경기연구원은 지난 4월 19일부터 5월 18일까지 도내 중소기업 151곳을 대상으로 경기도 녹색금융 정책 수요 및 여건을 조사했다.
대상기업은 ESG, 탄소중립 관련 정책이 기업의 경영활동에 직간접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일정 규모 이상의 중소기업으로 스타기업 63곳, 글로벌강소기업 62곳, 유망환경기업 23곳, 스타기업 및 글로벌강소기업 3곳 등이다.
먼저, 응답기업의 56.9%가 탄소중립 대응 필요성에 공감했으나 52.3%가 ‘탄소중립에 대해 전혀 준비돼 있지 않다’고 답했다.
또 준비할 계획인 곳은 40.4%, 준비 중인 곳은 7.3%였다. 준비를 마친 기업은 1곳도 없었다.
저탄소 전환의 애로사항으로는 ‘공정개선·설비 도입 관련 비용 부담’이 43.7%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전문인력 부족’(20.5%), ‘유망산업으로 인한 사업 전환 등을 위한 정보 부족’(9.3%)이었다.
ESG 인식을 보면 조사 기업의 30.5%가 ‘ESG 대응이 필요하다’고 응답해 ‘필요하지 않다’(14.6%)보다 두 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ESG 요소 중 가장 중요한 이슈로 71.7%가 환경을 꼽았으며, 다음으로 사회(21.7%), 지배구조(6.7%) 순으로 집계됐다.
ESG 동향이 경영활동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응답한 55곳이었는데, 이 중 준비가 됐다고 응답한 기업은 1곳에 불과했다.
고재경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녹색금융은 저탄소 인프라 및 경기도 유망 녹색기술·산업에 대한 투자를 촉진하고 탄소중립과 ESG 관련 규제에 대응해 산업의 저탄소화를 유도하는 전략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박건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