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7.19 (금)

  • 구름많음동두천 29.5℃
  • 흐림강릉 32.5℃
  • 구름많음서울 30.7℃
  • 구름많음대전 27.4℃
  • 흐림대구 29.4℃
  • 흐림울산 26.9℃
  • 구름많음광주 27.5℃
  • 흐림부산 26.1℃
  • 구름많음고창 28.1℃
  • 구름많음제주 32.7℃
  • 구름많음강화 27.7℃
  • 구름많음보은 28.0℃
  • 구름많음금산 28.6℃
  • 구름조금강진군 29.2℃
  • 흐림경주시 29.8℃
  • 구름많음거제 25.4℃
기상청 제공

[사설] 심화하는 ‘다문화 청소년’ 차별, 방치해선 안 된다

‘경쟁력 있는 다문화 국가’ 이룩 못하면 나라미래 암담

  • 등록 2022.02.25 06:00:00
  • 13면

부모 중 한쪽이 외국 출신인 학령기(7~18세) 다문화 청소년 중 교내 차별 등으로 학교에 적응하지 못하고 학업을 중단하는 학생이 한 해에 5000여 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나 충격이다. 정책당국이 다문화 정책을 전근대적 ‘동화주의’ 기조에 묶어놓고 일반 학생들의 ‘다문화 감수성’을 키우는데 소홀한 결과라는 게 전문가들의 견해다. 인구 절벽 공포 속으로 몰려가고 있는 형편에 이는 심각한 문제다. ‘경쟁력 있는 다문화 국가’를 이룩하지 못하면 국가의 미래마저 암담해질 수 있다는 문제 인식이 필요한 시점이다.

 

교육부에 따르면 이주 배경 학생은 지난해 기준 16만56명으로 전체 학생의 3%를 차지한다. 15년 전과 비교하면 무려 16배나 증가한 수치다. 국내 거주 외국인 비율이 4%대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다문화·다인종 국가(5% 이상) 진입을 눈앞에 두면서 학생들도 늘어난 것이다.

 

지난 2016~2020년 5년 동안 학업을 중단한 다문화 청소년은 5705명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1692명(29.7%)이 ‘학교 부적응’을 이유로 학교를 그만뒀다. 연도별로는 2016년 283명(32.3%)에서 재작년 344명(34.9%)으로 규모와 비중 양면에서 증가세를 보였다.

 

학업을 중단하는 다문화 청소년들은 학교 등급이 올라갈수록 비율이 높고 ‘학교 부적응’ 사유 비중도 상승한다. 2020년 기준 학업 중단율은 초등학교 0.57%, 중학교 0.69%, 고등학교 1.42%였다. 부적응이 중단 이유였던 경우는 각 19.3%, 50.7%, 73.9%여서 학업 중단 중학생 2명 중 1명, 고등학생은 10명 중 7명이 원치 않게 정규교육 과정을 이탈했다는 얘기다.

 

심각한 것은 학교 밖으로 ‘행복’을 찾아 떠난 아이들이 기술을 익혀 취업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는 사실이다. 이주배경청소년지원재단이 지난해 12월 발표한 실태조사에 따르면 취업자인 13~18세 다문화 청소년 중 단순 노무 및 서비스업에 종사하는 비중은 60.3%인 반면, 전문직 관련 및 사무직은 9.7%에 그쳤다. 19~24세도 각각 48.5%, 17.5%로 비슷한 추세를 보였다.

 

학업 포기에 대한 트라우마와 우울증 등으로 공교육에 재진입하지 못하고, 성인이 돼서도 실업 상태로 남거나 끝내는 생업을 위해 단순 노무와 서비스업에 내몰리기도 한다. 다문화 청소년의 학업 중단은 결과적으로 고질적인 다문화 기정의 ‘가난 대물림’ 현상으로 귀결될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지난해 우리나라의 합계출산율(여성 1인이 평생 낳는 출생아)은 사상 최저인 0.81명으로 내려갔다. 다문화·다인종 국가 진입을 눈앞에 둔 대한민국이 ‘경쟁력 있는 다문화 국가’를 추구하는 일은 이제 선택과목이 아니다.

 

편견과 차별의 울타리에 갇혀있는 국민의 인식을 바꾸는 치밀한 정책이 필요하다. 특히 자라나는 학생들에게 다양성을 인정하고 이해를 증진시켜 ‘다문화 감수성’을 키우는 일이 소중하다. 이민자의 나라 미국의 경우 주요 기업의 40%를 이민자가 창업했다. 올해 노벨상 수상자의 35%가 이민자 출신이다. 다문화·다인종 국가 진입을 코앞에 둔 대한민국이 여전히 후진적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현실은 부끄러운 일이다.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