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6 (수)

  • 맑음동두천 26.4℃
  • 구름많음강릉 27.6℃
  • 맑음서울 26.9℃
  • 구름많음대전 26.5℃
  • 구름많음대구 26.3℃
  • 구름많음울산 26.5℃
  • 구름많음광주 27.0℃
  • 흐림부산 25.7℃
  • 구름많음고창 26.1℃
  • 흐림제주 24.3℃
  • 맑음강화 26.5℃
  • 구름많음보은 25.3℃
  • 구름많음금산 24.8℃
  • 구름많음강진군 27.2℃
  • 구름많음경주시 27.8℃
  • 흐림거제 24.5℃
기상청 제공

분당서울대병원, 빅데이터 분석 통한 남녀 위암 특성·예후 차이 밝혀

 

분당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김나영 교수 연구팀은 대규모 데이터를 분석해 남녀 위암의 병태생리학적 특성과 예후 차이를 규명했다.

 

최근 남녀의 성별에 따라 질환의 기전과 양상, 예후에 근본적인 차이가 있어 접근법을 달리해야한다는 ‘성차(性差) 의학’이 세계적으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암 연구에서는, 남녀 성호르몬 등에서 비롯된 혈관 발생 및 염증 조절, 면역 체계 등 인체 시스템의 근본적인 차이를 통해 보다 근원적이고 개별화된 치료법에 다가설 가능성이 높다.

 

연구팀은 분당서울대병원에서 위암 판정 및 수술을 받은 환자 2983명의 기록을 분석했다. 그 결과 여성 위암 환자는 발견이 어려운 ‘미만형 위암’ 비율이 남성보다 높고, 3기 이상에서 남성보다 예후가 나쁘다. 또한 심뇌혈관 합병증에 의한 사망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위 내벽에 덩어리를 형성하는 일반적인 형태의 암인 장형과 달리, 미만형은 위 점막 아래에서 넓게 퍼져나가는 위암이다. 내시경으로 진단이 어려운 만큼 발견 시 중증에 이른 경우가 많아 예후가 나쁜 편이다.

 

여성의 경우 바로 이 미만형 위암을 비롯한 위 체부암의 비율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전체 표본에서 위암 환자 수는 남성이 여성의 두 배에 이르지만, 여성의 미만형 위암 비율(50.5%)이 남성(25.9%)을 크게 상회했다. 미만형 위암 총 환자 수에서는 남녀가 대등한 수준이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40세 미만에서는 남녀 모두 미만형 위암의 비율이 장형보다 높았지만, 여성에서는 그 비율이 90% 이상에 육박할 정도였다. 이러한 양상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장형의 비중이 늘어나며 달라졌는데, 남성에서 50세 이후부터는 장형이 다수를 차지했다. 반면 여성은 60세가 넘어야 장형의 비율이 미만형을 넘어서는 차이도 있었다.

 

이밖에도 조기 암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던 남녀 생존율이 3기 이상의 진행성 위암부터는 차이가 벌어지고 여성 환자들의 예후가 더 나쁘다는 점, 남성 위암 환자에서 사망 원인은 다른 장기의 암이나 호흡기 계통의 합병증인 반면 여성에서는 심뇌혈관 합병증에 인한 사망이 더 많았다는 점 등 성별에 따른 병태생리학적 특성과 예후 차이를 밝혀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세계 소화기학 저널’ 최신호에 온라인 게재됐다.

 

[ 경기신문 = 정경아 기자 ]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