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와 일자리 등 수도권 집중화가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청년 구직자 10명중 7명 이상이 지방 근무를 기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수도권에 거주하며 구직활동을 하는 청년을 대상으로 ‘지방근무에 대한 인식 조사’를 실시한 결과, 지방 근무를 기피한다는 응답이 73%(49.2% ‘다소 그렇다’, 23.6% ‘매우 그렇다’)에 이르렀다. 반면에 ‘별로 상관없다’와 ‘전혀 상관없다’는 대답은 각각 22.6%와 4.6%로 조사됐다. 또 비수도권 회사에 실제로 입사 지원하는지를 물었는데 ‘전혀 지원하지 않는다’가 34.5%나 됐다. ‘가급적 지원하지 않는다’(31.6%)까지 합하면 66%다. ‘지역에 상관없이 지원한다’는 응답은 14.3%에 불과했다.
연봉이나 다른 조건이 좋아도 비수도권 회사라면 다니지 않겠다는 생각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 것이다. 2020년 기준 비수도권에서 수도권으로 순유출된 청년인구는 약 9만1000명으로 2010년에 비해 1.7배 이상 증가했다. 비수도권 인구 중 청년 비중 역시 2010년 19.7%에서 2015년 18.8%, 2020년 17.6%로 하락했다. 수도권 인구는 1970년 28.3%에서 급속한 산업화·도시화가 진행되면서 2020년 처음으로 과반(50.1%)을 넘었고 2070년에는 52.4%에 달할 것이라는 게 통계청의 전망이다.
양질의 일자리 차원을 넘어 생활여건 전반이 충족되지 않는한 지역불균형이나 지방소멸·고령화를 해결하기가 쉽지 않음을 보여준다. 그런데 수도권 비중이 높아지면서 새롭게 주목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2003년 처음으로 경기도 인구(1036만명)가 서울(1028만명)을 추월한 이후 두 광역단체 사이의 격차가 갈수록 벌어지고 있다.
행정안전부 주민등록통계를 보면 올해 5월말 현재 서울의 인구는 949만6887명이다. 1992년 내·외국인을 합쳐 1097만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6년전 1000만명선이 무너졌고, 이후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다. 반면에 경기도는 1358만1496명으로 서울보다 약 410만명이 많다. 서울과 비수도권 모두로부터 인구 유입이 발생한데 따른 것이다.
경기도의 위상과 역할이 달라지고 있다. 서울 인구의 경기도 이동은 주택 문제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수도권내 일자리’를 추구하되 거주 부담을 줄이려면 서울보다 상대적으로 경기도가 유리하기 때문이다. 한국은 세계 최저 출산율(0.81)을 기록하며 인구감소·지방소멸의 위기를 맞고 있다. 한편에서는 수도권 집중화속에 경기도의 인구가 팽창하고 있다.
이같은 흐름은 일시적이거나, 어떤 단발적 조치에 의해 쉽게 달라질 수 없는 구조적 성격을 띠고 있다. 총인구는 감소하는데 수도권 비중은 높아지고 그 가운데서 경기도의 집중화가 계속된다면 상응하는 선택과 집중의 정책 대응이 요구된다.
경기도 면적은 서울의 17배다. 주택과 교통 등이 획기적으로 개선된다면 서울의 과밀 현상과 부동산 문제를 동시에 해소하며 국토활용을 최적화할 수 있는 출구가 될 수 있다. 경제부총리를 지낸 김동연 경기지사 당선인이 향후 4년의 도정을 맡는다. 중앙정부, 서울시 등과 과감하고 치열한 소통을 통해 수도권의 난제들을 주도적으로 풀어나갔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