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자원순환특화단지사업협동조합은 지역 내 발생폐기물에 대한 재활용 시스템 구축 및 재활용산업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특화단지를 조성했다. 버려지는 자원인 폐기물에서 고부가가치를 생산하는 이곳은 전국 최초로 민간이 주도했다는 점에서 높게 평가받고 있다. 조합은 폐기물 재활용, 자원 재순환의 친환경 산업으로 견인하는 역할을 다하고 있다.
재활용 기업들의 집합체로 조합 결성
폐기물을 고부가가치로 생산해내는 재활용산업은 천연자원 절약, 효율적 국토이용, 환경오염 감소 등 다양한 사회적 편익을 가져다주는 친환경 산업이다.
일선의 재활용업체들이 뭉쳐 지난 1995년 조합설립 인가를 받아 인천시 서구 금산로 일원( 5만 6256㎡) 터에 공동 사업지를 조성해 출범했다.
당시 33개의 조합원사는 직접 도로, 전기, 상수도를 설치해 기반시설을 일구며 제도권 내에서 협동조합 사업을 이끌었다.
갯벌로 이뤄진 척박한 땅에서, 국유지기 때문에 건물조차 지을 수 없는 열악한 환경에서 작업을 위한 천막이 유일했다. 비가 오거나 추운날씨에 침수와 추위에 떨어야 했지만 이를 해결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찾아 동분서주하며 오늘에 이르렀다.
이 노력은 2008년 정부에 작업환경 개선 건의가 국가 정책사업으로 받아들여져 현재의 자원순환특화단지 조성이라는 결실을 맺었다.
민간 최초 자력으로 조성된 터전 마련
조합이 추진한 특화단지사업은 자원재활용산업의 육성 및 경쟁력 향상을 위해 생산시스템을 구축하는 한편 영세업체의 사업장 확보, 노후화 된 시설 정비, 열악한 환경 개선을 목적으로 추진됐다.
현재 환경부는 도시광산산업으로 자원순환특화단지를 조성하고 있다.
수명이 다한 제품의 금속물질을 분리, 파쇄 및 선별하는 단계에서 자원으로 재활용하는 완전한 자원순환 시스템을 구축하는 사업이다.
특화단지는 환경부와 지자체가 50대 50으로 재원을 마련해 지역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을 재활용해 먼 거리까지 이동하지 않도록 조성된다. 인천은 부산, 전주에 이어 세 번째로 조성됐다.
인천은 타 지역과 달리 조합이 전국 최초로 민간 주도하에 지난 2010년부터 33개 조합원사와 환경부, 인천시 서구와 손잡고 친환경 재활용단지에 뜻을 모았다.
하지만 인천항만공사 소유 부지를 매입하는데 많은 우여곡절을 겪었고, 결국 국회와 법원의 조정으로 상호 원만한 협의에 성공하면서 본격적인 단지조성에 돌입했다.
민간 자본 436억 원이 투입돼 사업 추진 12년 만에 완성된 특화단지는 전국에서 유일하게 조합과 조합원의 땀과 노력에 의해 일궈낸 소중한 터전이라는 데 그 의미를 더하고 있다.
조합 공동사업 인내와 신뢰로 추진
특화단지는 5만 6100㎡ 부지 중 3만 7950㎡이 조합원사 부지이며 나머지 1만 8150㎡는 도로, 녹지, 주차장, 공동폐수처리 시설과 공공시설이다. 현재 단지에는 10여개의 업체가 입주해 공장을 짓고 사업을 하고 있다.
조합은 단지 완공과 함께 재활용기업의 사업환경 개선으로 경쟁력을 갖춰나갈 계획이다.
특히 재활용 기업들이 사업허가 심의에 유리한 점에서 부지매입에 대한 관심도 늘어가는 추세다.
또 인천시, 서구, 환경부와 협의를 통해 인근 부지(약 2만 6000㎡) 매입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새롭게 마련하는 부지에는 처리가 어려운 폐기물을 재활용 할 수 있는 시설들을 구비해 원재료나 원료로 생산하는 시스템을 갖출 계획이다.
이외에도 단지 내 부족한 휴식, 회의 등 편의공간을 마련하고 지역 시민들의 기부를 활용한 공방 프로그램을 운영함으로서 폐자원을 효과적으로 재활용하는 역할로 자리매김할 예정이다.
조합은 기업들의 집합체를 넘어 인천지역 재활용 기업들의 미래 기반을 다지고, 재활용 산업을 통해 환경보존과 시대적 요구에 따른 고부가가치를 생산하는 도시 광산의 새로운 터로 발전할 수 있도록 정부 차원의 관심과 적극적인 지원을 기대하고 있다.
김장성 인천자원순환특화단지사업협동조합 이사장
지난 2004년 조합 이사장에 취임하면서 열악한 현장 환경 개선을 위해 뚝심과 신념을 원동력으로 삼아 현재에 이르렀다. 중기중앙회와 정부의 제안에 힘을 얻어 공동사업을 추진했지만 각종 현안을 해결하는데 수많은 난관에 부딪치기도 했다.
결국 부지매입에 성공했지만 조합원사에 개별로 분할하는 과정에서 법률 개정에 따른 세제감면 적용을 받지 못하게 돼 막대한 국세를 납부해야 하는 부담은 현재에도 사업추진에 큰 걸림돌로 작용되고 있는 상황이다.
더욱이 진입도로 증설에 따른 기존 단지 내 업체들의 재입주를 해야하는 상황에서 작업중단이라는 새로운 문제에 봉착하기도 했다. 하지만 모두가 숙원하는 공동사업장 조성을 위해 조합의 투명한 행정과 설득으로 10여년의 공사를 완료하는 쾌거를 이뤄냈다.
올해 4월 조합원들은 단지조성을 마무리하고 사업을 활성화하는 기틀을 마련하라며 이사장직을 재선출했다. 막중한 책임감을 갖고 전국에서 벤치마킹하는 모델을 제시하는 최고의 단지를 조성할 각오를 다시한번 다지는 계기로 삼고 있다.
재활용은 환경문제와 자원 고갈을 대체할 수 있는 시대적 요구이며, 새로운 탈바꿈을 통해 고부가가치 자원을 창출하는 잠재력을 지닌 사업이다. 또한 국가정책인 만큼 정부차원의 뒷바침은 필수 불가결한 사안이다.
인천자원순환특화단지가 선진국의 에코‧리사이클단지와 같이 환경교육까지 병행하는 종합적인 인프라가 구축된 단지가 되기 위해 정부와 인천시가 보다 적극적인 지원방안이 필요하다.
[ 경기신문 / 인천 = 박영재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