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30 (일)

  • 구름많음동두천 23.7℃
  • 구름많음강릉 22.0℃
  • 구름조금서울 23.8℃
  • 구름많음대전 23.7℃
  • 흐림대구 26.4℃
  • 흐림울산 24.9℃
  • 구름많음광주 23.9℃
  • 부산 23.0℃
  • 구름많음고창 22.9℃
  • 흐림제주 26.0℃
  • 맑음강화 22.3℃
  • 구름많음보은 23.3℃
  • 흐림금산 23.5℃
  • 흐림강진군 23.8℃
  • 흐림경주시 26.1℃
  • 흐림거제 23.4℃
기상청 제공

“행수이전시 경기도 등 지역불균형 악화”

이전시 10년간 인구 120만명 감소, 반면 규제 완화 등으로 지역총생산 8조원 증가

행정수도를 충청지역으로 이전할 경우 경기도내 인구가 10년간 120만명 감소해 지역불균형이 더욱 심화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인구는 감소하는 반면 지역규제 완화와 경제 활성화로 지역총생산은 같은 기간 8조원 가량 증가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와 관심을 모으고 있다.
경기도 산하 경기개발연구원은 서울대학교에 의뢰, 지난 3월 행정수도가 오는 2011년까지 충북 청원군으로 이전하는 것을 가정한 '신행정수도와 고속철도 사업이 수도권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연구용역 보고서를 발간했다.
20일 신행정수도 이전 후보지 확정전에 나온 이 보고서에 따르면 행정수도 이전이 마무리되는 2011년에 경기도 인구는 행정수도 이전효과로 8만9천여명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2011년부터 2020년까지 10년간 수도권 인구는 경기지역 121만8천여명, 서울지역 58만8천여명, 인천지역 25만9천여명 등 모두 206만5천여명 감소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수도권 지역의 인구가 이같이 감소할 것으로 추산되는 것과 함께 지역총생산도 서울?인천?강원지역이 크게 감소하고 경기지역만 오히려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경기지역의 지역총생산은 6천500억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향후 10년간 지역총생산 누계는 7조9천600여억원이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 연구보고서에서 경기지역의 경우 행정수도 이전시 인구는 안성시를 제외한 모든 시군에서 감소하는 반면 지역총생산은 남부 일부지역에서 집중적으로 증가, 남북간 지역불균형은 더욱 심화될 것으로 예측됐다.
행정수도 이전 뒤 2011년부터 10년간 성남시는 28만4천명, 고양시 40만9천명, 수원시 15만3천명, 부천시 7만1천명, 용인시 6만명 감소하고 안성시만 유일하게 1천900명 증가할 것으로 추정됐다.
그러나 지역총생산은 같은 기간 수원 5조5천300여억원, 용인 2조9천100여억원, 성남 8천600여억원 증가하는 반면 고양시는 2조8천700여억원, 의정부시는 8천400여억원 등 북부 대부분 시군은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