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2.24 (화)

  • 맑음동두천 -8.7℃
  • 맑음강릉 0.2℃
  • 맑음서울 -4.1℃
  • 맑음대전 -3.0℃
  • 맑음대구 1.1℃
  • 맑음울산 2.3℃
  • 맑음광주 1.7℃
  • 맑음부산 2.0℃
  • 맑음고창 1.0℃
  • 구름많음제주 8.2℃
  • 맑음강화 -5.8℃
  • 맑음보은 -5.2℃
  • 맑음금산 -5.2℃
  • 맑음강진군 4.0℃
  • 맑음경주시 -1.2℃
  • 맑음거제 3.4℃
기상청 제공

[창간특집] 저물어가는 농촌에 신(新)바람 일으킬 ‘청년 농부’

'소멸'위기 접어든 농업계…해답은 '청년 농부'
경기도 내 2/3가 농업 및 도·농 복합지역
부지 선정부터 기술·마케팅 등 전방위 지원실시
"청년 창업농 지원으로 '한 줄기 희망'생겨"

 

농업계가 ‘소멸’위기에 처했다. 전국적으로 퍼지는 고령화 바람에 농가 수·농가 인구 감소세가 지속되며 농가인구 고령화율이 50%에 달했기 때문이다.

 

이에 정부와 각 지자체는 ‘청년 창업농 육성’을 국가 필수 과제로 넣는 등 농업계에 신(新)바람을 일으킬 ‘청년 창업농’으로 새로운 시작을 도모한다.

 

지난 2018년부터 시작된 ‘청년 농업인 영농정착지원’은 영농 초기 소득이 불안정한 청년 창업농에게 영농 정착 지원금과 창업 자금, 기술·경영 컨설팅과 농지 임대 및 매매를 연계 지원하는 사업이다.

 

본 사업의 신청 기준은 사업 시행 연도 기준 만 18세 이상~만 40세 미만(올해 기준 1982년 1월1일~2004년 12월31일 출생자)이다.

 

또한 영농경력은 독립경영 3년 이하(독립경영 예정자 포함)여야 한다. 청년 창업인 선정 시 독립경영 1년 차는 월 100만 원, 2년 차는 월 90만 원, 3년 차는 월 80만 원의 지원을 받을 수 있다.

 

농림축산식품부 관계자는 경기신문에 “젊은 청년 인재분들이 농업 분야에 진출하는 데 있어 장벽을 낮추고 안정적인 시작을 할 수 있도록 선순환 체계를 구축하기 위함”이라고 취지를 밝혔다.

 

또한 “이 사업은 농가 경영주분들의 고령화를 조절해서 농업 인력구조를 개선하려는 목적으로 시작됐다”고 덧붙였다.

 

 

◇경기도 2/3가 농업지역…청년 농부 지원정책은

 

경기도 내 31개 시·군 중 약 20곳이 농업 또는 도·농 복합 지역으로 지정돼 있다. 도 농업기술원의 전미리 주무관은 “청년 농부 등을 지원하기 위해 도내 20개 시군에 49개소의 농업기술센터를 운영하고 있다”고 밝혔다.

 

전 주무관은 현재 도내 청년 창업농을 위한 지원 사업으로 ▲청년농업인 영농정착지원 ▲경기창업준비농장 ▲경기청년스마트팜 ▲경기청년융자지원 등이 있다고 안내했다.

 

이외에도 지자체 차원에서 경기도농수산진흥원에 위탁 운영 중인 ‘귀농귀촌종합센터’에 따르면 이달 기준 도내 24건의 지원 정책과 227건의 관련 교육이 이뤄지고 있다.

 

가평군에서는 ‘귀농농업창업자금’, ‘농산유통분야 보조사업’ 등 8개의 도내 가장 많은 지원 사업이 이뤄진다. 뒤이어 연천군은 ‘귀농인 농기계 임대료 감면 지원’, ‘귀농 농업창업 및 주택구입지원사업’ 등 6개, 화성시·남양주시는 각 3개, 평택시·양주시·안성시·양평군이 각 1개다.

 

 

◇평범한 주부·직장인에서 똑부러진 ‘청년 농부’로

 

용인에서 두 아이를 키우던 주부에서 ‘미미쌀롱’의 대표로 거듭난 이현미 씨(40)는 청년 창업농 지원 사업을 통해 “원래의 나를 되찾았다”고 말한다.

 

건설 회사를 다니다 결혼과 함께 일을 관뒀던 이 대표는 지난 2018년 전업주부로 지내던 어느 날 벼농사를 짓던 부모님의 권유로 용인농업기술지원센터의 가공 교육을 접했다.

 

이 대표는 “직판보다 수익성이 높은 ‘가공품’에 눈길이 갔다. 자체브랜드를 만들어보면 어떨까 고민하던 중 2018년 ‘청년 창업농 지원 사업’을 알게 돼 참여했다”고 설명했다.

 

이 대표는 사업 지원금을 통해 제품 개발에 몰두했다고 한다. 그는 “과정이 쉽지 않았지만, 자문위원이 농장에 직접 방문해 컨설팅을 해주고 세법과 온라인 마케팅 관련 교육을 해줘 큰 도움이 됐다”고 밝혔다.

 

 

서울에서 약 7년간 대행사 디자이너로 일했던 정진욱 씨(38)는 용인으로 귀농해 연 매출 12억(지난해 기준)의 법인회사로 자리 잡은 흑염소 진액 ‘흑색건강’의 대표다.

 

정 대표는 “농업 기반으로 아무런 경험도 없고 전공도 아니다 보니 귀농한 입장에서 굉장히 애로사항이 많았다”고 회상했다.

 

그는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계기로 청년 창업농 영농정착지원을 꼽았다. “원래는 사업을 접으려 했었다. 그런데 이 지원이 저에게 한 줄기 희망이 된 것이다”고 말했다.

 

정 대표는 “지원금의 목적이 농업뿐만 아니라 생활비로 활용 가능해 생활을 유지할 수 있었다”며 “사실 지원이 3년까지라 지금은 끝났지만, 이 부분이 (성장하는데) 큰 기여를 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시작은 충분하다, 이제는 온전한 ‘유지’가 필요할 때

 

청년 창업농 지원 정책·교육 등으로 우여곡절을 이겨낸 이현미 대표와 정진욱 대표는 입을 모아 “그러나 결코 쉬운 일은 없다”고 말했다. 

 

청년 창업농 지원은 농사 경력에 따라 최대 3년까지 지원된다. 그러나 해당 사업의 지원이 종료된 이후 농업 유지를 위한 지원 정책이 미흡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정 대표는 “시나 지자체에서도 적극적으로 초기 정착 후 매출액 증가나 발전 가능성이 있는 청년 농가에 대해 융자 지원이나 보조사업이 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채상헌 연암대 농업대학 교수(59)는 이와 관련해 “지자체와 농민들은 (청년)귀농인들을 농업 파트너로 인식하고, 후계인력을 확보한다는 목표로 정책을 세워야 한다”는 입장이다.

 

고령화에 맞물린 농업 인구 감소로 도시민 유치를 통한 인구 늘리기에 중점을 두는 일부 지자체의 경우 금전적 지원에도 귀농 후 정착이 어렵기 때문이다.

 

경기도 농업정책과 관계자는 “현재 한국농어촌공사와 협력한 유휴지 임대 방안 사업에 대해 내부 논의 중이다”라며 “농어촌 공사에서 시행하고 있는 농지은행 사업과 연계할 수 있나 검토하는 단계”라고 밝혔다.

 

[ 경기신문 = 김한별 기자 ]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