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1.17 (금)

  • 구름많음동두천 -0.4℃
  • 구름조금강릉 4.5℃
  • 흐림서울 1.4℃
  • 구름많음대전 4.9℃
  • 구름조금대구 4.0℃
  • 맑음울산 4.2℃
  • 구름많음광주 4.7℃
  • 맑음부산 5.4℃
  • 구름많음고창 5.7℃
  • 흐림제주 6.7℃
  • 구름많음강화 2.7℃
  • 구름많음보은 2.3℃
  • 구름많음금산 3.0℃
  • 구름조금강진군 6.8℃
  • 구름많음경주시 3.5℃
  • 맑음거제 4.6℃
기상청 제공

[사설] 미국발 긴축, 기존 공식 넘는 대응 필요

고금리·고환율·고물가 상수로 자리매김

  • 등록 2022.09.23 06:00:00
  • 13면

 

미국발 금융긴축이 다시 비상이다.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22일(한국시간) 3연속 자이언트 스텝(0.75%p 금리인상)을 단행했다. 이로써 미국의 기준금리는 3.00~3.25%로 금융위기 당시인 2008년 1월 이후 최고 수준으로 올랐다. 한국의 현재 기준금리는 2.50%로 미국의 기준금리 상단과 0.75%p의 차이가 발생했다.

 

 그런데 이번 FOMC 위원들은 향후 전망을 가늠할 수 있는 점도표에서 미국 금리가 올해 말 4.4%, 내년 4.6%까지 오를 것으로 제시했다. 시장 예상치를 모두 웃도는 것이다. 그러자 이날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연말까지 두 차례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그동안 고수했던 ‘베이비스텝(0.25%p 금리인상)’ 기조를 빅스텝(0.50%p)으로 상향할 수 있음을 내비쳤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연말까지 한·미간 금리 격차가 1%p 안팎으로 더 벌어져 한국 경제에 고환율, 달러 유출 가속화 등 상당한 파장이 우려된다. 

 

지난주 발표된 미국의 8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8.3%, 전월대비 0.1% 오르며 월가의 전망치를 상회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지난 19일 한국의 올해 물가상승률 전망치를 지난 6월(4.8%)보다 0.4%p 높여 5.2%로 수정 발표했다. 한층 비상한 자세로 글로벌 상황에 대비해야 한다.

 

 우선 고환율 장기화가 우려된다. 

 

유로화 약세 등에다 한·미간 금리 격차까지 벌어지면서 22일 1400원선을 돌파한 원달러 환율의 고공행진이 쉽게 멈추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지금의 고환율이 미국발 초긴축의 1차 충격파라고 한다면 이런 긴축이 세계경제 침체로 이어져 내년에는 안전자산인 달러의 2차 강세가 나타날 수 있다. 고환율은 수입 가격에 영향을 미치며 국내 물가를 압박하게 된다.

 

 둘째 미국 금리인상과 고환율에 따른 외국 자본의 이탈 문제다. 

 

최근 국내 주식에서 외국인의 시가총액 비중이 크게 낮아지고 있다. 올초 34%를 웃돌던 외국인 비중이 지난 15일 기준 30.39%선까지 내려가 2009년 7월13일(29.92%) 이후 13년 만에 최저 수준이다. 이번 미 연준의 추가 긴축으로 외국인의 시총 비중 30%선이 붕괴될 수도 있다. 외환당국의 철저한 모니터링과 한미 통화스와프 등 대책마련이 요구된다. 

 

미국의 바이든 행정부는 지난달 자국의 엔비디아와 AMD사에 AI용 고성능 컴퓨팅 그래픽처리장치(GPU)의 대중국 수출 금지를 내렸다. 특히 이번 수출 제재 대상에 품목은 물론 성능의 상한선까지 제시해 충격을 주고 있다. 

 

우크라이나 침공 7개월째인 러시아는 21일(현지시간) 군 동원령을 발동했다. 신냉전과 함께 ‘국제분업·자유무역’의 세계화가 와해되는 과정이어서 글로벌 인플레이션의 끝을 예측하기가 어렵다.

 

‘세계경제대통령’이라고 불리는 미 연준의 제롬 파월 의장은 지난해 6월 ‘인플레이션=일시적(transitory)’이라고 했다가 5개월여 만인 11월 자신의 오판을 인정하며 뒤늦게 초긴축에 시동을 걸었다. 

 

지금 우리는 한 번도 가보지 않을 길을 걷고 있는 ‘시계(視界)제로’의 시대에 살고 있다. 정부와 국민 모두 ‘고물가·고환율·고금리’에 생존의 허리띠를 단단히 조여야 한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