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가 도내 밀 생산‧소비를 촉진하기 위해 도내 밀 산업을 지원하고 있지만 그 효과가 거의 없는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3일 도에 따르면 도는 지난해부터 ‘경기밀 산업 육성 지원 사업’을 실시, 올해는 약 2억 8000만 원의 예산을 투입해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 사업은 도내 밀 산업 종사자에 재배면적 1ha당 400만 원을 지원하는 생산장려금 지원, 경기밀 수매 시 1가마(40kg)당 5000원의 인센티브를 지원하는 수매자금 지원 등이 골자다.
밀은 식생활 서구화로 쌀 다음을 차지하는 제2의 주식이지만 국내 밀 공급량의 99.2%를 수입에 의존할 정도로 밀 자급력은 없는 상태다.
여기에 우크라이나 전쟁, 원‧달러 환율 폭등으로 밀 가격이 오르고 있어 밀 관련 제품 가격도 덩달아 오르고 있는 상황이다.
도는 이번 사업을 통해 도내 밀 생산과 소비를 촉진함으로써 수입 의존도를 낮추고 밀 가격 및 공급량 안정화를 노리고 있다.
그러나 통계청이 발표한 밀 재배면적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도내 밀 재배면적은 25ha로, 동기간 전북 2852ha, 전남 3277ha 등에 비해 그 규모는 턱 없이 작다.
지난해 기준 전북과 전남의 재배면적은 각각 1855ha, 2372ha로 올해 대폭 늘어났지만, 동기간 도내 밀 재배면적은 20ha로, 올해 5ha 증가한 데에 그쳤다.
사업 실시 후 2년째지만 아직 눈에 보이는 성과가 없을 정도로 효과가 미미해 사실상 대안이 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또 사업 성과 부족으로 곡물건조저장시설 설치 등 인프라도 확충하지 못하고 있어 도내 밀 산업 활성화에는 많은 어려움이 예상된다.
아울러 도 차원의 홍보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도가 당초 2025년까지 연간 밀 생산량을 기존 대비 40배 확대하기로 했던 목표도 달성할 수 있을지도 의문이다.
도 관계자는 “국내 밀과 수입 밀은 인건비나 사업 기반 등에서 차이가 나면서 가격 경쟁 자체가 안 되다 보니 재배면적이 자연스럽게 줄어드는 것”이라며 “생산량이 적다 보니 도내 곡물건조저장시설도 없는 등 인프라도 부족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규모가 워낙에 작아 아직 산업이라고 부르기도 부족한 상황”이라며 “(지원 사업은) 점차 규모를 키워가면서 넓혀가는 시작 단계에 있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김기웅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