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1 (금)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학령인구 감소 속 사립대 적자행진 10년째…작년엔 2조 1000억원

 

학령인구 감소와 등록금 동결 여파로 지난해 전국 4년제 사립대들이 2조 원이 넘는 적자를 낸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의 '사립대학교 재정 운영 현황 분석'을 보면 지난해 전국 156개 사립대의 실질 운영 수익은 14조 5251억 원, 운영 비용은 16조 6722억 원으로 2조 1471억 원 적자를 기록했다.

 

10년 전인 2011년과 견주면 실질 운영 수익은 14조 5961억 원에서 0.5% 감소하고 운영 비용은 13조 7907억 원에서 20.9% 증가했다.

 

사립대들은 2011년 8054억 원 흑자를 끝으로 2012년부터 10년째 적자 행진을 이어오고 있다.

 

적자 규모도 2012년 2811억 원에서 2013년 1조 753억 원, 2014년 1조 6940억 원으로 확대되더니 2015년(2조 1280억 원)부터는 매년 2조 원 안팎을 기록하고 있다.

 

사립대 적자가 지속되는 것은 정부 정책 영향으로 14년째 등록금이 동결되고 학령인구 감소로 주요 수입원인 등록금 수입은 줄었기 때문이라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반면 물가 상승에 따라 인건비·관리운영비 등 비용은 증가했다.

 

지난해 등록금·수강료 수입은 10조 2007억 원으로, 2011년(11조 554억 원)보다 7.7% 줄었다.

 

보수·관리 운영비는 같은 기간 9조 7405억 원에서 11조 254억 원으로 13.2% 늘었다.

 

대교협은 "사립대의 수입 감소는 실험실습비, 도서 구매비, 연구비 등 교육을 위한 투자를 위축시킨다"며 "고등교육의 만성적 운영수지 적자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절대적인 규모의 재정 확충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