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1.15 (수)

  • 맑음동두천 -1.1℃
  • 맑음강릉 1.5℃
  • 맑음서울 -1.7℃
  • 맑음대전 1.2℃
  • 맑음대구 2.1℃
  • 맑음울산 2.0℃
  • 광주 0.9℃
  • 맑음부산 4.1℃
  • 흐림고창 -1.5℃
  • 흐림제주 4.1℃
  • 맑음강화 -2.2℃
  • 맑음보은 -0.1℃
  • 구름조금금산 0.3℃
  • 구름많음강진군 2.0℃
  • 맑음경주시 2.7℃
  • 맑음거제 4.0℃
기상청 제공

[최광범의 미디어 비평] 책임회피가 낳은 따옴표 제목


윤석열 정부가 출범하면서 예상됐던 일이다. 대장동 특혜 의혹 사건 수사는 이재명 민주당 대표를 향할 것이라고. 그의 최측근인 김용 민주연구원 부원장과 정진상 당대표 정무조정실장이 구속되면서 예상이 현실화되고 있다.  


40년 가까이 뉴스 읽고 보는 일을 업으로 살아왔음에도 대장동 의혹은 진실을 가늠하기 어렵다. 민주당 대선후보 경선이 막바지로 치닫던 지난해 8월 31일, 경기경제신문이 보도한 이후 15개월이 흘렀다. 성남시장 재직때 이재명 후보의 연관성에 국민적 관심이 집중됐고, 윤 대통령 부친 연희동 단독주택을 대장동 드라마의 감독격인 김만배의 누나가 매입했다는 사실이 드러나자 모두가 아연실색했다. 여기에 곽상도·박영수·권순일·김수남·최재경 등 ‘50억 클럽’의 명단이 폭로 되어 사건은 더 혼란에 휩싸였다. 이 사건을 수사한지 1년이 넘었지만 어느 것 하나 명확히 정리된 것이 없다. 


성역 없는 검찰과 책임 있는 언론이 있었다면 이럴까 반문해본다. 검찰은 가야할 방향을 정하고 꿰맞추는 모양새다. 그래서 없는 것을 짜내고, 있는 것도 덮어둔다는 비판을 받는다. 탐사보도가 거의 불가능한 언론현실을 예리하게 파고든다. 팩트 조각들을 닭에게 모이 주듯 적절하게 활용한다. 오죽하면 경향신문 사회부장은 칼럼에서 ‘수사는 언론과 함께 가야한다는 게 검사들의 관용구’라고 토로한다. 


언론은 재판에서 이해관계가 상반된 한 쪽 주장을 검증 없이 보도한다. 검증 시간이 부족하면, 최소한 이해관계자의 발언을 균형있게 보도해야 한다. 그것 조차 없다. 사실확인이 안 된 범죄자의 발언이 언론사의 필요에 따라 기사 제목으로 둔갑한다. 지난 11월 25일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린 대장동 개발 특혜 의혹 재판을 전하는 언론보도가 그렇다. 


대장동 일당인 남욱은 증인으로 출석해, “천화동인 1호 지분 절반이 이재명 당시 시장측 지분이라는 걸 김만배씨로부터 들었다”며 “당시 개발 사업의 책임자인 이 시장의 의사에 따라 대장동 사업의 지분이 결정되는 게 아닌가 생각했다”는 등의 발언을 쏟아냈다. ‘들었다’ ‘생각했다’ 같은 범죄자의 추측성 표현들이었다.  


한국일보는 26일자에 《남욱, “대장동 이재명 몫 선거·노후자금이라 들었다”》라고 보도했다.  조선일보는 《“李시장 측 지분은 이재명 포함한 것”》라며 단정적인 제목을 달았다. 동아일보는 《남욱 “李측 몫에 선거-노후자금 포함된 걸로 이해”···김만배는 침묵》이라며 균형감을 유지하려 했다. 중앙일보와 한겨레는 각각 《남욱 “이재명 설득하려고 김만배 대장동 사업에 영입했다”》, 《“이재명 설득하려 김만배 대장동 사업 참여”, 남욱·유동규와 입맞춘 듯 이재명 조준》이라는 제목으로 보도해, 이재명 당시 시장을 접근하기 어려웠던 인물이었음을 암시하고 있다. 


1년 이상 국민적 관심사가 되고 있는 뉴스 제목이 온통 따옴표다. 고품격 저널리즘을 가리는 요소 가운데 하나가 제목에 사용되는 따옴표 비율이다. 뉴욕타임스는 편집지침에 제목에 따옴표를 사용하면 안 된다고 명시하고 있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