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7.29 (월)

  • 흐림동두천 25.6℃
  • 구름많음강릉 33.9℃
  • 서울 27.7℃
  • 구름많음대전 31.5℃
  • 구름조금대구 34.4℃
  • 맑음울산 34.2℃
  • 구름조금광주 32.2℃
  • 맑음부산 32.4℃
  • 맑음고창 32.2℃
  • 구름많음제주 32.2℃
  • 구름많음강화 25.9℃
  • 구름많음보은 31.2℃
  • 구름많음금산 31.0℃
  • 구름많음강진군 31.7℃
  • 맑음경주시 35.3℃
  • 맑음거제 30.9℃
기상청 제공

'수원지역 제조업' 2023년 1분기 경기 전망 '흐림'

수원 제조업 2023년 1분기 경기전망 ‘70’
체감경기·경제성장률·경영목표 달성 '부정' 전망

 

경기 수원지역 제조기업들이 올 1분기 경기전망을 부정적으로 내다봤다.

 

수원상공회의소(회장 김재옥)가 수원지역 85개 10인 이상 제조업체를 대상으로‘2023년 1/4분기 기업경기전망지수(BSI:Business Survey Index)’를 조사한 결과, 기업들의 2023년 1분기 전망치는 직전 분기 대비 12포인트 하락한 ‘70’을 기록했다. 

 

이는 코로나 영향이 컸던 2020년 3분기 경기전망지수 72와 유사한 수준으로, 기업들의 새해 첫 경기전망에 대한 분위기가 부정적이다.

 

기업경기전망조사의 세부항목을 보면 조사대상 가운데 체감경기(70), 매출액(78), 영입이익(71), 설비투자(83), 공급망 안정성(78), 사업장· 공장 가동(81)으로 항목 모두가 기준치 (100)미만으로 나타났다.

 

연초에 수립한 ‘매출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 응답기업의 37.1%가 ‘소폭 미달(10%이내)’, 21.0%가 ‘크게 미달’로 응답기업의 절반이 넘는 58.1% 의 기업이 올해 매출목표를 달성하지 못할 것으로 예상했다.

 

영업이익에 대한 전망 역시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초에 목표했던 ‘영업이익을 달성할 수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 응답기업의 41.7%가 ‘소폭 미달(10%이내)’, 26.7%가 ‘크게 미달’로 응답기업 3곳 중 2곳(68.4%)은 영업이익을 달성하지 못할 것으로 응답했다.

 

기업의 경영실적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원자재가격 인상에 대한 고심이 깊은 것으로 드러났다.

 

응답기업의 37.5%가 ‘원자재가격’, 30%가 ‘내수시장 경기’, 11.3%가 ‘고금리 상황’ 등이 경영실적을 좌우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기업들이 전망하는 2023년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은 1.05% 수준으로 집계됐다. 국내·외 기관들의 경제성장률 전망치가 1.5~2.0% 수준인 것과 비교해보면 현장의 체감여건이 더 나쁘다는 것을 나타낸다.

 

전망치를 묻는 질문에 ‘1.0~1.5%’ 미만이 29.8%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1.5%~2.0%(24.6%)’, ‘0.5%~1.0%(19.3%)’, ‘마이너스(12.3)’, ‘0.5미만(10.5%)’, ‘2.0~2.5%(3.5%) 순으로 응답했다.

 

올해 매출과 수출 실적에 대해 작년과 비교하는 질문에는 ‘작년과 동일 수준’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하지만 전체적으로는 마이너스 구간으로 응답한 기업이 더 많아 가중평균값은 –1%대 역성장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매출 전망은 26.9%가 ‘작년과 동일 수준’으로 응답했지만 마이너스 구간이 37.7%, 플러스 구간이 35.9%로 가중평균값은 –1.035로 집계됐다. 수출 전망은 40.6%가 ‘작년과 동일 수준’으로 응답했지만 마이너스 구간이 31.8%, 플러스 구간이 27.5%로 가중평균값은 –1.16으로 집계됐다.

 

2023년 한국경제를 위협할 리스크 요인을 묻는 질문에 대해 기업들이 가장 많이 응답한 리스크요인은 ‘高 물가·원자재가 지속’(31.4%)였고, 다음으로는 ‘내수경기 침체’(23.1%), ‘고금리 지속’(15.7%). ‘원부자재 수급 불안’(12.4%), ‘고환율 장기화’(7.4%) 순이었다.

 

이러한 경제 리스크를 관리하기 위해 정부가 역점을 둬야할 과제로는 ‘경기부양을 위한 금리정책’(26.3%)을 가장 많이 꼽았고, 다음으로는 ‘환율 등 외환시장 안정’(24.6%), ‘자금조달시장 경색 완화’(17.8%), ‘규제혁신을 통한 성장동력 확보’(11%), ‘수출 및 기업활동 지원’(9.3%), ‘공급망 안정화’(8.5%) 순이었다.

 

[ 경기신문 = 이지민 기자 ]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