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7 (목)

  • 맑음동두천 23.2℃
  • 맑음강릉 23.3℃
  • 맑음서울 24.1℃
  • 맑음대전 23.6℃
  • 구름조금대구 24.4℃
  • 구름많음울산 20.2℃
  • 맑음광주 23.4℃
  • 구름많음부산 21.4℃
  • 맑음고창 21.6℃
  • 흐림제주 22.1℃
  • 맑음강화 22.3℃
  • 맑음보은 20.2℃
  • 맑음금산 21.4℃
  • 구름조금강진군 19.6℃
  • 구름많음경주시 21.2℃
  • 구름많음거제 19.1℃
기상청 제공

인천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 2배 늘었는데…센터 직원 안늘고 절반 비정규직

2021년 96명→2022년 189명
“예산·규정 문제로 어쩔 수 없어”

 

인천의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를 상담하고 동영상 삭제를 지원하는 직원의 절반은 비정규직인 것으로 나타났다.

 

상담부터 동영상 삭제, 소송 지원 등 보통 2년 정도의 지원 과정이 필요한데 비정규직 노동자가 일을 능숙하게 처리할 수 있게 되면 센터를 떠나야 한다.

 

7일 인천시에 따르면 인천디지털성범죄지원센터 직원 6명 중 3명이 비정규직이다. 팀장 1명, 정규직 2명, 기간제 3명이 근무한다. 비정규직 직원들은 1년 단위로 계약한다.

 

센터는 2021년 제2, 제3의 ‘n번방’ 피해를 막기 위해 전국적으로 생겼다. 2021년 96명의 피해자를 지원했고 2022년엔 189명으로 피해자가 2배나 늘었다.

 

디지털성범죄가 교묘해지고 피해자가 늘고 있지만 직원 수는 그대로다. 2021년엔 팀장을 제외한 5명의 직원이 비정규직이었다. 이후 일부가 정규직으로 채용됐는데 같은 업무를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비정규직이 절반이다.

 

시는 디지털 성범죄 피해 지원센터의 종사자 처우를 개선해야 한다는 데에 동의하지만 역시 문제는 예산이다.

 

시는 인천여성가족재단에 센터를 위탁 운영하고 있는데 사업비가 5억 4250만 원(시비 5억 원, 국비 4250만 원)이다. 아울러 인천여성가족재단 인사규정 상 정규직 규모를 조정해야 하기 때문에 어렵다는 의견을 내놨다.

 

시는 “종사자 처우를 개선해야 한다는 말에 동의한다”면서도 “다만 인천여성가족재단 규정과 예산 상황을 고려하면 쉽지 않은 부분이 있다”고 말했다.

 

인천시의회 문화복지위원회 소속인 유경희(민주·부평2) 의원은 “디지털 성범죄가 나날이 심각해지고 있다”며 “근본적으론 직원 수를 늘려야 과중한 업무에 따른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비정규직 채용이 이어진다면 디지털 성범죄의 전문성을 쌓을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인천 = 박소영 기자 ]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