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0 (목)

  • 맑음동두천 29.1℃
  • 구름많음강릉 27.1℃
  • 구름조금서울 30.9℃
  • 구름많음대전 25.4℃
  • 흐림대구 25.1℃
  • 흐림울산 22.3℃
  • 흐림광주 23.3℃
  • 부산 21.8℃
  • 흐림고창 24.1℃
  • 흐림제주 22.2℃
  • 맑음강화 24.3℃
  • 구름많음보은 23.1℃
  • 흐림금산 24.3℃
  • 흐림강진군 22.2℃
  • 흐림경주시 23.2℃
  • 흐림거제 21.0℃
기상청 제공

[아침보약] 스트레스가 병이 되어가는 과정

 

스트레스가 쌓이면 몸과 마음에 영향을 준다. 가슴이 답답하고 잘 체하고 소화가 안되기도 하고 머리가 아프고 잠을 잘 못자기도 한다. 이런 상황이 반복되다 보면 몸이 점점 피로해지고 면역이 저하된다. 면역이 저하되니 염증질환이 잘 생기고 잘 낫지않는다 증상만 덜하게 하는 약은 먹어도 일시적이고 몸을 더 건강하게 하는게 아니다, 부작용도 있고해서 몸이 아픈데가 점점 늘어난다. 이런 즈음에 내원하는 분들을 20년이상 치료해오면서 제대로 나으려면 왜 스트레스가 병이 되는지에 대해 이해가 필요하다고 느낀다. 그이야기를 해볼까 한다.

 

이별, 상실 등 충격적인 관계적 사건이나 경제적인 큰 손실 등 화가나고 억울하고 슬픈 그런 감정들은 해소 되지 않는 정신적 스트레스이다. 어린시절의 일들, 아버지가 알콜중독에 폭력적이었던 경험이 어른이 되어서 결혼하고 자식을 키우면서도 지속되기도 한다. 가슴두근거리고 불안하고 과민한 몸이 된다. 오래동안의 육체적인 과로와 사고등의 육체적 스트레스 혹은 환경오염, 인스턴트음식 등도 화학적 스트레스도 몸과 마음에 영향을 미친다,

 

이런 스트레스가 병이 되는 이유를 알려면 자율신경을 이해하는게 필요하다. 자율신경은 소화되고 대변보고 소변보고 심장뛰는 것 등 우리의 생명유지를 담당하는 내장기관들이 잘 기능하게 알아서 우리가 의식하지 않는 사이에 조절해주는 신경이다. 우리가 잠을 자고 있어도 심장은 잘 뛴다 건강할 때 소화에 신경안써도 소화가 되고 몸에 불필요한 수분이 많아지면 알아서 소변 마렵다는 신호를 보내어 배출한다. 이렇게 의식하지 않아도 몸이 잘 굴러가게, 즉, 항상성을 유지해 주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감당하기 어려울 정도의 스트레스가 발생하게 되면 우리 몸은 스스로 보호하기 위해서 위급상황으로 인식하고 전투태세를 취한다. 싸우거나 도망치거나. 근육은 긴장되고 심장은 빨리 뛰고 소화기능은 저하되며 호흡도 빨라진다. 긴장 초초 불안하고 이 컨디션이 지속되면 잠도 잘 오지 않는다. 그런데 전쟁도 하루이틀이지 이 상태가 지속되면 피로해진다 그러는 중에도 스트레스 상황이 해소 되지 않고 오래되면 자율신경기능이 저하되고 심하면 번아웃된다 자율신경이 내장기관 전반의 조율을 담당하기 때문에 이렇게 자율신경이 조절기능을 잃으면 신경계, 순환계, 호흡계, 소화계, 내분비계, 생식계, 비뇨기계, 전반에 걸친 정말 다양한 증상이 나타난다. 혈액순환도 잘 안되어 손발이 저리고 시리다고 호소하고 호르몬이상도 보인다. 여기서 적절하게 치료적개입이 반영되지 않으면 면역기능에 영향을 주어 면역관련 질환이 발생한다.

 

이러한 스트레스 상태는 에너지적으로도 영향을 미친다, 우리몸의 에너지가 흐르는 통로를 한의학에서 경락이라고 하는데 해소되지 못한 스트레스는 이 경락의 에너지 소통에 장애를 유발한다. 몸이 이곳 저곳 아프기 시작한다. 가슴이 답답하고 막힌 것 같고 목에 무엇이 매달린 것 같거나 위로 열이 치밀어오르기도 한다.

 

한의원에서 치료적 개입은 빠를 수록 좋다고 말씀드린다. 당연한 건강습관도 스트레스 상황에는 쉽지가 않기 때문이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