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30 (일)

  • 흐림동두천 23.2℃
  • 구름많음강릉 22.8℃
  • 흐림서울 23.8℃
  • 대전 24.3℃
  • 흐림대구 29.6℃
  • 흐림울산 26.8℃
  • 광주 24.2℃
  • 흐림부산 24.4℃
  • 흐림고창 24.0℃
  • 흐림제주 27.1℃
  • 구름많음강화 25.9℃
  • 흐림보은 24.6℃
  • 흐림금산 24.5℃
  • 흐림강진군 25.4℃
  • 구름많음경주시 28.8℃
  • 흐림거제 23.2℃
기상청 제공

[사설] ‘경계’에 서 있는 민주당, 총체적 점검이 필요하다

당내 민주주의와 경쟁이 사라진 정당은 수권정당이 될 수 없다

  • 등록 2024.06.28 06:00:00
  • 13면

8·18 전당대회를 앞두고 있는 민주당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국민의 전폭적 지지로 171석 거대야당이 된 지 불과 두 달만이다. 민주당의 중진 정치인들은 물론 친명계 내부에서조차 위기의식이 표출되고 있다. 여의도 정가의 많은 사람들은 민주당이 현재 ‘경계’에 서 있다는 진단을 하고 있다. 이대로 가면 수권정당이 될 수 없다는 지적이다. 이런 지적의 핵심은 당내 민주주의 위축과 다양성의 실종에 있다. 

 

민주당은 26일 최고위원회의에서 당무위원회 권한을 위임받아 전국당원대회준비위원회와 선거관리위원회를 구성했다. 그러나 전당대회에 대한 관심은 당내에서조차 찾아볼 수 없다. ‘어대명’(어차피 대표는 이재명), ‘또대명’(또 대표는 이재명)을 넘어 이제는 ‘당대명’(당연히 대표는 이재명)으로 고착되고 있기 때문이다.  

 

총선 압승 후 친명계는 ‘이재명 연임론’을 공론화 했다. 이어 대선 1년 전 사퇴하게 되어 있는 당헌·당규를 속전속결로 개정했다. 당 대표 사퇴 시한에 예외 규정을 둔 것이다. ‘이재명 맞춤형’ 당헌·당규 개정이라는 여론의 비판이 있었지만, 민주당 지도부는 “윤석열 정부에 맞서려면 거대 야당을 이끌어갈 강력한 리더십이 필요하다”며 이 대표 연임 불가피론으로 여론과 맞섰다. ‘부정부패 연루 당직자의 자동 직무정지’ 조항도 폐지했다. 이 전 대표의 당대표 연임과 대선 가도의 장애물을 사전에 제거한 것이다. 잘 짜여진 각본에 의해 ‘이재명의 민주당’을 만들기 위한 과정들은 당내 큰 저항없이 성공할 것으로 보인다. 강민구 최고위원의 “이재명은 민주당의 아버지” 발언 이후 최고위원 후보들의 낯 뜨거운 ‘명비어천가’ 경쟁을 보면 쉽게 짐작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민주당이 과연 수권정당이 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점점 의문이 커지고 있다.  당장 8·18 전당대회 흥행실패는 분명해 보인다. '약속 경선'이라는 말도 나오지만 이 조차 불가능해 보인다. 나서는 후보가 없다. 이재명 전 대표가 2022년 8월 전당대회에서 박용진 후보에게 “박용진 후보도 공천 걱정하지 않는 당을 만들겠다”고 했음에도 지독한 과정을 거쳐 끝내 ‘비명횡사’ 당했는데 누가 경쟁에 뛰어들겠는가. 결국 경쟁후보가 없는 탓에 경선이 아닌 추대 방식이 될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인 상황이다. 한동훈 전 비상대책위원장, 나경원 의원,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 윤상현 의원 등이 출마해 벌써부터 치열한 경쟁이 시작된 국민의힘 전당대회와는 정 반대의 모습이다.

 

1987년 민주화 이후 우리나라 정치는 국민이 주도하는 ‘작용과 반작용’의 법칙이 지배해 왔다. 지난 번 총선도 그랬다. 윤석열 대통령과 여당의 실정이라는 ‘작용’에 분노한 국민이 민주당 총선 압승이라는 ‘반작용’을 만들어 낸 것이다. 국민이 이재명 일극체제 완성이라는 ‘작용’을 지켜보면서 또 어떤 ‘반작용’을 만들지 알 수 없다. 윤 대통령에 의해 총선에서 민주당이 압승할 수 있었던 것처럼 민주당 때문에 윤석열 정부와 국민의 힘이 기사회생할 가능성도 있는 것이다.

 

최근 여론조사를 보면 171석 거대 야당의 정당지지도가 여당과 같은 수준이다. 정부를 심판하기 위해 민주당을 선택한 많은 국민이 우려섞인 시선으로 민주당을 지켜보고 있는 것이다. 민주당 지도부는 당 안팎의 우려를 직시하고 총체적인 점검을 하길 바란다, 일부 강성 지지층의 눈치에서 벗어나 총선 압승을 만들어 준 국민의 마음을 헤아려야 진정한 수권정당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