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7.01 (월)

  • 구름많음동두천 22.0℃
  • 맑음강릉 26.4℃
  • 흐림서울 22.4℃
  • 구름많음대전 22.4℃
  • 구름조금대구 25.6℃
  • 구름조금울산 25.4℃
  • 박무광주 23.1℃
  • 박무부산 22.7℃
  • 구름많음고창 22.7℃
  • 구름많음제주 25.3℃
  • 흐림강화 21.6℃
  • 맑음보은 21.1℃
  • 구름조금금산 22.4℃
  • 흐림강진군 23.3℃
  • 맑음경주시 25.7℃
  • 맑음거제 24.1℃
기상청 제공

[그어소] 우리가 통(通)할까?

 

X세대 이상의 기성세대에게 흔히 MZ세대로 불리는 젊은 세대를 어떻게 생각하냐고 질문하면 요즘 젊은이들은 참 당돌하고, 예의가 없다고 답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반대로 젊은 세대에게 기성세대에 대해 질문하면 소통이 안 된다고 이야기한다. 기원전 1700년경 만들어진 수메르 점토판에도 이집트 피라미드 내벽에도 적혀있고,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소크라테스도 젊은이들은 버릇없다는 말을 남겼다고 하니, 세대 간 갈등은 어느 시대를 막론하고 빚어지는 현상이 아닌가 싶다.

실제로 커리어플랫폼 사람인이 직장인 2천236명을 대상으로 ‘직장 내 세대 차이’에 대해 조사한 결과 전체 응답자의 75.9%가 세대 차이를 느끼고 있다고 답했다. 게다가 이 조사에 따르면 젊은 세대인 M세대와 Z세대 역시 세대 차이를 느낀다고 하니 세대 간 자연스러운 소통문화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MZ세대는 인터넷과 모바일의 세대로, 아날로그가 기본이었던 기성세대와는 다른 형태의 삶을 살고 있다. 하지만 각기 다른 개성과 삶의 형식이라도 삶의 흐름과 경험은 매우 비슷하다고 생각한다. 오랜 시간 젊은 세대를 상담하면서 느낀 바로는 삶을 살면서 부딪히는 문제는 X세대인 내가 그 나이에 겪었던 상황과 그리 다르지 않다. 그런 만큼 서로 간의 이해가 동반된다면 소통은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우리나라의 고도성장기를 함께 해온 기성세대는 삶의 역량과 축적된 지혜를 가지고 있다. 젊은 세대는 디지털과 AI시대의 감각과 지식을 지니고 있다. 서로 간의 이해와 포용, 존경과 인정이 함께 한다면 좋은 시너지가 될 수 있다. 그러기 위해 세대 간 대화 방법을 소개한다.

 

첫째, 서로의 좋은 점을 보고 다가가야 한다. 마음의 문을 열고 소통의 의지를 갖는 것이 중요하다. 서로를 보는 시야에 한계가 있다면 대화의 즐거움은 사라진다.

 

둘째, 진정성 있는 자세로 서로에게 묻고 답하는 대화를 해야 한다. 20대들과 대화를 하고 나면 진심으로 대화해줘서 고맙다는 말을 매번 듣는다. 20대들은 매우 솔직하다. 세대 간 대화의 키워드는 ‘진정성’이라고 생각한다.

 

셋째, 대화 내용이 구체적이어야 한다. 한자어를 배우며 자란 기성세대와 인터넷용어를 보며 자란 젊은 세대는 사용하는 단어를 비롯하여 의식의 차이가 있다. 서로의 말을 잘 이해하지 못할 수 있다. 그렇기에 구체적으로 눈에 그려지듯 대화해야 한다.

 

넷째, 잦은 대화는 세대 간의 벽을 허문다. 서로 간의 빈번한 대화를 통해 유대관계를 돈독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섯째, 서로 수평적 시선에서 존중해야 한다. 기성세대는 일명 ‘꼰대’소리에 대화를 피하지 않았으면 한다. 젊은 세대의 이야기를 들어보고 도움이 될 말이 있다면 솔직하면서도 간결하게 전하는 것이 좋다. 기성세대 역시 같은 어려움을 겪고 살아왔기에 수평적 시선으로 젊은 세대에게 자신의 경험과 의견을 전하고, 지지와 격려까지 할 수 있으면 좋겠다. 젊은 세대 또한 기성세대의 경험과 지혜를 존중해 주길 바란다. 분명 그 경험과 지혜에서 배울 것이 있을 것이다.

 

서로 이해하고 포용할 수 있다면 세대 간 대화는 정말 쉽게 이어질 수 있다. 우리 모두의 건강한 미래를 위해 함께 하는 의식이 필요하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