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7.01 (월)

  • 구름많음동두천 22.0℃
  • 맑음강릉 26.4℃
  • 흐림서울 22.4℃
  • 구름많음대전 22.4℃
  • 구름조금대구 25.6℃
  • 구름조금울산 25.4℃
  • 박무광주 23.1℃
  • 박무부산 22.7℃
  • 구름많음고창 22.7℃
  • 구름많음제주 25.3℃
  • 흐림강화 21.6℃
  • 맑음보은 21.1℃
  • 구름조금금산 22.4℃
  • 흐림강진군 23.3℃
  • 맑음경주시 25.7℃
  • 맑음거제 24.1℃
기상청 제공

[사설] ‘화성화재’ 참사 의혹 철저히 밝혀라

사고원인 조속규명하고 재발방지책 마련해야

  • 등록 2024.07.01 06:00:00
  • 13면

지난 24일 화성시 서신면 전곡리에 위치한 이차전지 제조업체 아리셀 공장 화재로 23명이 숨지고 8명이 중경상을 입는 등 31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사고 직후 김동연 경기도 지사와 정명근 화성시장은 모든 일정을 취소하고 현장으로 달려가 머물면서 노동자 수색, 현장 수습, 피해 지원 등을 일일이 독려했다. 윤석열 대통령도 이날 저녁 현장을 찾아 화재 수습 상황을 보고받고 소방청장에게 화재의 원인을 철저하게 정밀 감식하라고 지시했다.

 

정부도 고용부 장관을 본부장으로 하는 중앙사고수습본부를 구성, 행안부·소방청·환경부 등 관계기관과 노동자 수색, 현장 수습, 피해 지원 등을 총괄 지원하고 있다. 경기도·화성시도 즉시 재난안전대책본부를 꾸리고 아리셀 공장 화재 사고 희생자의 장례부터 발인까지 전 과정을 지원하고 있다. 경기도·화성시대책본부는 현재 유가족 지원시설 5곳과 상담실 1곳 등 6곳의 쉼터를 마련, 심리 상담과 법률 상담 등을 진행 중이다. 관내 장례식장과 협의해 장례 절차도 진행하고 있다. 화재로 인한 2차 환경 피해를 막기 위해 재난 현장 환경 정비도 실시했다. 앞으로도 대기질과 수질을 지속해서 측정할 예정이다.

 

희생자 유족과 부상자들의 깊은 슬픔과 고통을 타인으로서는 헤아릴 수 없다. 정부와 경기도·화성시의 대처를 언급했지만 중요한 것은 ‘사후약방문’ 보다는 이런 위험을 미연에 방지했어야 한다는 점이다. 앞으로 이런 후진적인 참사가 언제 다시 발생하지 않으리라는 보장이 없다. 이처럼 불안한 마음이 가시지 않는 이유가 있다. 경기신문은 6월 27일자 1면 ‘화성 아리셀 화재 3개월 전 경고…경찰‧노동부는 강제수사 나서’ 제하의 기사를 통해 소방당국이 3개월 전 화재 발생시 인명피해 발생 가능성을 경고했다고 보도했다.

 

6월 26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위성곤(민주·제주서귀포) 의원이 화성소방서로부터 제출 받아 공개한 ‘소방 활동 자료조사서’에 아리셀 공장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대규모 인명피해 가능성이 있다는 내용이 들어있다는 것이다. 조사서에는 ‘사업장 내 건물 11개 동이 위치해 있고 상황 발생 시 급격한 연소로 인한 연소 확대 우려가 있다’면서, 특히 ‘3동 제품 생산라인의 급격한 연소로 인한 인명피해 우려가 있다’고 경고했다. 실제로 3동에서 화재가 발생했고 23명이 목숨을 잃었다.

 

의문점은 또 있다. 참사 이틀 전에도 이 공장에서 비슷한 화재가 발생했다. 하지만 전수조사 등의 조치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소방당국에 신고조차 하지 않고 화재상황을 자체적으로 종결했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일각에서는 생산된 배터리에 결함이 있었던 게 아닌가하는 의문도 나온다. 이와 함께 외국인노동자 불법파견 여부도 규명돼야 한다. 왜 노동자들이 비상계단 등을 통해 미처 대피하지 못하고 숨졌는가에 대한 질문에도 명확한 답변이 필요하다.

 

안전생활실천시민연합(안실련)은 6월 27일 발표한 성명을 통해 “중대 재해 발생의 끝은 어디냐”면서 화재·폭발 위험성이 큰 전국의 사업장 안전관리 실태에 대한 전면 재점검과 관리 당국과 책임자를 엄정하게 조사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본보 역시 ‘사고원인 철저·조속 규명’ ‘책임자 처벌’ ‘재발방지책 마련’을 촉구하는 바이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