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노인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설치되고 있는 바닥 보행신호등(이하 바닥 신호등)에 대한 현황 파악이 지방자치단체별로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보행 중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사람들을 쉽게 찾아볼 수 있는 만큼 바닥 신호등에 대한 수시 점검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박옥분(민주·수원2) 경기도의회 의원은 11일 경기도 건설국에 대한 행정사무감사에서 “(바닥 신호등의 경우) 횡단보도 신호등과 바닥의 LED 신호가 서로 불일치하는 고장이 발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박 도의원은 “(일부 보행자는 바닥의 LED 신호에 의존해서) 폰을 사용하며 횡단보도를 건널 때가 많다”면서 “문제는 바닥 신호등 설치에 상당한 비용이 들지만 지방자치단체가 신호등 현황을 수시로 관리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바닥 신호등이 고장 난 채로 장기간 방치될 경우 보행자의 교통사고를 유발할 수도 있다”고 강조했다.
박 도의원이 도 건설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도와 도내 시군은 679억 원(도 339억 5000만 원·시군 339억 5000만 원)을 들여 어린이보호구역과 노인보호구역에 바닥 신호등 등 안전시설물을 설치하는 어린이·노인보호구역 개선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지자체별로 민원 접수를 통해 바닥 신호등 고장 상태를 확인할 뿐 실질적인 신호등 관리·조사는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게 도의원들의 설명이다.
박 도의원은 “바닥 신호등 고장에 대해 상당한 심각성을 느끼고 있다”며 “도와 시군은 바닥 신호등에 대한 관리·감독을 수시로 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서성란(국힘·의왕2) 도의원도 “구체적인 바닥 신호등 현황과 신호등 설치 이후 보행 교통사고 발생에 어떤 변화가 있는지 파악하고 있는가”라고 물었다.
강성습 도 건설국장은 “(바닥 신호등을) 설치한 이후 그 부분에 대해 조사한 적은 없다”고 답했다.
이에 서 도의원은 “바닥 신호등은 실생활에서 유익한 부분이 많다. 도내 바닥 신호등의 실태와 필요성 유무 등을 명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관련 용역을 실시해 신호등이 남용되는 일이 없게끔 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 경기신문 = 나규항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