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특례시가 조직 개편을 통해 기본사회팀을 신설했다.
기본사회팀 신설은 ▲주거 ▲의료 ▲교육 등 보편적 기본서비스를 모든 시민들이 누릴 수 있는 기본사회 실현이 목표다.
13일 시에 따르면 인구 100만 명 이상 대도시에 진입함에 따라 소득, 금융, 주거, 교통, 의료 등 민생 전 분야에 있어 필수적 서비스를 제공하고 화성형 기본사회를 본격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기본사회팀’을 신설했다고 밝혔다.
균형발전과 신설된 기본사회팀은 ▲기본소득 ▲기본서비스 ▲사회적경제 ▲지속가능발전(환경보호)의 기본사회의 핵심적인 가치가 지역사회에 정착될 수 있도록 ‘화성형 기본사회’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시는 상반기 조직개편을 통해 기본사회 전담 부서 ‘기본사회과’를 신설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100만 특례시에 걸맞는 기본사회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화성특례시장은 지난해 11월 지방정부 정책 발표회에서 ‘화성형 기본 사회’의 구체적 성과 및 우수사례를 발표하고 본격적인 기본사회 구현을 위해 올해 전국최고 규모의 2,784억 원 예산을 확보한 바 있다.
정명근 화성특례시장은 “화성형 기본사회를 실현하기 위해 기본사회부서와 기본사회위원회를 신설하고, 특례시에 걸맞는 최고 수준의 기본사회 정책을 추진하겠다고”밝혔다. 이어 “기본사회 정책지원을 최우선으로 하여, 시민들의 더 나은 삶을 위한 등대 역할을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화성특례시는 민생경제 활성화 5개 분야에 총 738억 원을 편성하고 추가로 전국 최대 5000억원 규모의 지역화폐를 발행해 민생경제회복을 통한 기본사회를 지원한다.
[ 경기신문 = 최순철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