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형 준공영제 ‘시내버스 공공관리제’ 운영 1년간 민원·교통사고 건수는 감소하고 운행횟수·막차시간 준수율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는 지난해 1월부터 시내버스 공공관리제를 시행한 315개 노선 2142대를 대상으로 실시한 평가 결과를 24일 공표했다.
경기도 시내버스 공공관리제는 매년 노선 단위로 시내버스 종합평가를 실시하고 3년 단위로 공공관리제 갱신 여부를 결정한다.
이번 평가에 따르면 국민신문고 등으로 접수된 시내버스 민원 발생건수는 2023년 1895건에서 지난해 1392건으로 27% 감소했다.
31개 시군에서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 위반으로 실시한 행정처분 건수도 2023년 404건에서 지난해 342건으로 15% 줄었다.
시내버스 교통사고는 2023년 1070건에서 지난해 732건으로 32% 감소했다.
버스 노선 운영 분야에서는 운행횟수 준수율이 2023년 88%에서 지난해 99%로 11%p 증가했고 막차 시간 준수율은 2023년 84%에서 지난해 89%로 5%p 증가했다.
차량 기반시설(인프라) 측면에서도 장애인 등 교통약자를 위한 저상버스 보급률이 2023년 36%에서 지난해 49%로 13%p 올랐다.
평균 차령도 2023년 6.0년에서 지난해 5.7년으로 0.3년 감소했다.
도는 이번 평가 결과 미흡사항에 대한 개선계획을 포함해 서비스 개선, 재정 절감, 노선 개편, 공공성 확보 분야를 중심으로 시내버스 공공관리제 로드맵(종합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박노극 도 교통국장은 “시내버스 공공관리제 시행 이후 시내버스 공적관리를 강화하면서 버스 서비스 질을 대폭 개선했다”고 전했다.
또 “시내버스 공공관리제가 도와 시군의 많은 재정이 투입되는 사업인 만큼 운송비용 절감 방안을 마련하고 공공성 확보를 위해서라도 더욱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도는 지난달 기준 시내버스 339개 노선 2255대에 대해 공공관리제를 시행하고 있으며 오는 2027년까지 도 시내버스 1649개 노선 6187대를 모두 공공관리제로 전환할 방침이다.
[ 경기신문 = 이유림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