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31 (월)

  • 구름조금동두천 12.4℃
  • 구름많음강릉 12.3℃
  • 구름조금서울 12.7℃
  • 구름많음대전 13.5℃
  • 구름많음대구 13.8℃
  • 구름많음울산 9.9℃
  • 흐림광주 12.1℃
  • 구름조금부산 9.8℃
  • 구름많음고창 10.2℃
  • 흐림제주 11.3℃
  • 구름조금강화 8.9℃
  • 구름많음보은 12.2℃
  • 구름많음금산 12.3℃
  • 구름많음강진군 13.0℃
  • 구름많음경주시 11.7℃
  • 맑음거제 9.7℃
기상청 제공

[김봉섭의 이심전심(以心傳心)] 글로벌 한류의 경계를 넓히자

 

 

최근 한류(韓流. Hallyu)에 대한 외국인의 관심이 엄청나다. 한국문화·역사와 한국어를 기반으로 하는 K-드라마‧예능‧영화‧음악‧애니메이션‧출판‧웹툰‧게임‧패션‧뷰티‧음식 등을 즐기는 지구촌 한류 동아리가 112개국 1,748개이고, 한류 팬은 2억2497만 명이라고 한다(한국국제교류재단, 2023). 적극적 참여자를 기준으로 이 정도면 소극적 한류 향유자·소비자는 얼마나 될까. 적어도 3배 이상일 것으로 추산된다.

 

이런 글로벌 한류 현상의 저변에는 우리와 밀접한 관계인 전 세계 180개국 재외동포사회가 자리 잡고 있다. 게다가 국내 거주 다문화·외국인·유학생은 물론 해외진출 한국기업 종사자, 내·외국인 관광객, 심지어 북한동포들까지 각자의 방식으로 호감을 표하고 있다.

 

그렇다면 이 시점에서 “한류 팬덤(fandom)이 얼마나 오랫동안 유지될 수 있을까”와 같은 기존의 담론(談論) 수준을 뛰어넘어 “지속가능한 글로벌 한류 생태계 조성을 위해 우리 각자는 어떤 노력들을 해야 할까”를 고심하지 않을 수 없다.

 

우선, 민간차원이다. 2024년 한 해 동안 한국인 해외출국자는 2872만 명이었다. 외국인 국내 입국자도 1696만 명에 달했다. 국내 총인구 5168만 명(통계청, 2025년)의 88%인 4568만 명이 국경을 드나들면서 우리 문화를 해외에 전파하며, 이웃 문화를 국내에 소개했다. 이들 ‘벌과 나비’가 상호문화 이해와 존중에 적잖은 기여를 하고 있지만 여행 동기·기간·방문지·연령·주소비층 간에 접점(contact point) 찾기가 쉽지 않다는 이유 등으로 민간외교 차원의 인적 이동을 제대로 평가하지 못했다. 특히 오랫동안 한국 제품·이미지·브랜드 수출을 견인해온 전 세계 재외동포의 글로벌 이동에 대해서도 객관적으로 재평가할 필요가 있다.

 

둘째, 정부차원이다. 한류가 국가이미지 제고에 긍정적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는 점을 정부도 잘 알고 있다. K-콘텐츠의 매력 확산을 국정과제로 설정한 이유이기도 하다. 그러나 이것만으로는 부족하다. 지속가능한 한류 생태계를 위해서는 꾸준히 제2, 제3의 시장을 찾아야 한다. 미국·영국·프랑스·독일·이태리·캐나다·일본 등 G7 국가, 스페인·중국·튀르키예·멕시코·태국 등 관광대국, 인도·인도네시아·나이지리아·브라질·방글라데시·러시아·필리핀·이집트·베트남 등 인구대국, 우즈베키스탄·호주·카자흐스탄·뉴질랜드·아르헨티나·싱가포르·키르기즈 등 재외동포 다수 거주국 등을 주요 타겟으로 하는 ‘한류 생태계 기반 구축 10개년 계획’ 수립·추진에 문화·외교·통상·동포 관련 부·처·청·위원회가 전략적으로 나설 때다.

 

셋째, 기업차원이다. 이미 삼성·SK·LG·POSCO·현대기아·한화·롯데·KB·신한·하나 등 글로벌 기업들은 해외에서 한국문화를 접목한 ‘Korean Made’ 상품·서비스 출시와 브랜드 가치 제고에 많은 도움을 받고 있다. 현지 사회를 위한 사회적 책임(CSR) 활동도 적극 펼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그러나 여기서 한 걸음 더 나가야 한다. 매년 3월 17일만 되면 전 세계 17개국 50여 개 도시가 온통 녹색으로 변한다. 이른바 ‘성 패트릭의 날(St. Patrick’s day)’ 때문인데, 이때 다수의 아일랜드 기업들이 적극 나서서 자신들의 글로벌 영향력을 맘껏 발휘하고 있다. 우리 기업들도 이 점에 주목해야 한다. 재외동포청이 주관하는 세계한인의 날(10월 5일) 기념식뿐만 아니라 우리 동포사회가 매년 개최하고 있는 백여 개가 넘는 한인이민자의 날, 한인 축제, 한국의 날, 코리안 퍼레이드·페스티벌, 한국문화의 달 행사에 ‘키다리 아저씨’ 역할을 해야 하며, 현지정부나 자치단체가 주도하는 카니발·다문화축제도 기업 이미지와 브랜드 가치 제고에 적극 활용해야 한다.

 

넷째, 대학차원이다. 한국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초저출생·초고령화·지방소멸 위협에 대한 대비책으로 글로벌 한류 팬과 재외동포 차세대를 적극 유치해야 한다. 하계·동계방학을 활용한 기숙사·교육시설·교과목 개방, 동포 차세대 모국초청연수와 예비대학 프로그램 운영, 글로벌 한류·한상·한인을 대상으로 하는 온·오프라인 학사·석사·박사과정 개설 등이 그것이다.

 

앞으로 우리 민·관·산·학(民官産學)이 각자의 자리에서 그동안 축적(縮積)해 놓은 네트워크·정보·재원·지식을 십분 활용하여 지속가능한 글로벌 한류 생태계 구축에 총력을 기울인다면 ‘저성장의 늪’에 빠진 대한민국을 다시 고동(鼓動)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