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기업 10곳 중 1곳 이상이 자산보다 부채가 많은 부실기업으로 분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 6년간 크게 증가한 수치로, 2019년 이후 최대 규모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가 23일 발표한 ‘기업부실예측분석을 통한 2024년 부실기업 진단’에 따르면, 외부감사를 받아야 하는 외감기업(금융업 제외) 3만7510곳 중 4466곳(11.9%)이 완전자본잠식 상태에 놓인 것으로 추정됐다.
부실기업 수와 전체 외감기업 대비 비중 모두 2019년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부실기업 수는 ▲2019년 2508곳(7.9%) ▲2020년 3077곳(9.2%) ▲2021년 4012곳(11.2%) ▲2022년 3856곳(10.8%) ▲2023년 4350곳(11.6%)으로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한경협은 “경기 회복 지연과 업황 부진, 고금리 등의 영향으로 국내 기업들의 수익성이 악화하면서 부실기업 수가 크게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부실 상태로 전환될 확률을 나타내는 부실확률도 2019년 5.7%에서 2024년 8.2%로 상승해 최고치를 기록했다. 업종별로는 부동산·임대업의 부실확률이 24.1%로 가장 높았고, ▲전기·가스·증기·수도사업(15.7%)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14.2%) ▲예술·스포츠·여가서비스업(14.0%) 등이 그 뒤를 이었다. 반면 제조업(2.8%)은 가장 낮은 부실확률을 기록했다.
부실확률 상승폭이 가장 큰 업종은 건설업으로, 2019년 3.3%에서 2024년 6.1%로 1.9배 증가했다. 이어 ▲전문과학(1.8배) ▲광업(1.6배) ▲정보통신업(1.5배) 순으로 상승폭이 컸다. 한경협은 “건설업 부실확률이 급등한 배경에는 고금리·고물가, 건설 수주 부진,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등이 있다”고 진단했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부실기업 증가로 실물경제가 악화되고 금융시장 리스크가 확대되면서 경제 전반의 불확실성이 높아지고 있다”며 “자금조달 비용을 완화하고 유동성 지원을 강화하는 한편, 원활한 사업재편을 저해하는 상법 개정안을 국회에서 재논의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 경기신문 = 오다경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