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1 (토)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캄보디아 감금 피해 한국인 2명 구조…박찬대 의원 영사조력법 개정 추진

고수익 미끼에 속아 범죄단체 끌려가 160일간 폭행·협박
박찬대 의원실 협조로 구출…330건 피해 신고에도 인력·예산 부족 지적

 

캄보디아 시아누크빌 등지의 범죄 조직에 감금돼 보이스피싱 가담을 강요당하던 한국인 2명이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의원실과 현지 당국의 협조로 극적으로 구조됐다. 피해자들은 160여일간 쇠파이프와 전기충격기 폭행을 당하며 고문에 시달렸으며, 사건을 계기로 국회에서는 재외국민 보호를 강화하는 영사조력법 개정 논의가 본격화되고 있다.

 

11일 연합뉴스 등에 따르면 한국인 남성 A씨와 B씨는 지난 2일 캄보디아 시아누크빌의 한 호텔에서 현지 경찰에 의해 구출됐다. 두 사람은 고수익을 보장한다는 온라인 구인 글에 속아 출국했다가 실제로는 중국인과 조선족 관리가 지휘하는 보이스피싱 조직에 납치돼 감금됐다.

 

이들은 하루 종일 범죄에 가담하지 않으면 쇠파이프와 전기충격기 구타를 당했다. 수갑을 차고 침대에 묶인 채 생활했고, “매출 10억원을 달성해야 풀어주겠다”는 협박까지 받았다. 기절하면 얼굴에 물을 뿌리고 다시 전기 충격을 가하는 방식의 고문도 반복됐다.

 

A씨와 B씨는 100여일 넘게 포이펫과 시아누크빌 범죄단지를 전전했다. 구조 요청을 시도하다가 실패했으나, 추가 신고 끝에 현지 경찰이 급습해 감시자들을 체포하면서 감금 생활을 끝낼 수 있었다. 현재 두 사람은 귀국 준비 중이다.

 

A씨는 “옆방에도 한국인 3명이 있었다”며 “아직도 많은 한국인이 구조를 기다리고 있다”고 증언했다. 실제로 외교부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8월까지 캄보디아에서 ‘취업사기 후 감금’ 피해로 접수된 사례는 330건에 이른다.

 

이번 구조는 피해자 가족이 박찬대 의원실에 구조를 요청하면서 시작됐다. 박 의원실은 외교부와 영사관, 현지 경찰과 협력해 구조를 성사시켰다. 박 의원은 지난달 30일 재외국민 보호 체계를 강화하는 영사조렵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 개정안은 해외 사건사고 모니터링, 실종 신고 적극 대응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박 의원은 “지금도 구조를 기다리는 국민과 애타는 가족이 있다”며 “정부 부처가 긴밀히 협조해 ‘골든타임’을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건이 반복되는 해외 범죄 피해 구조의 구조적 한계를 드러낸다고 지적한다. 피해자 수는 급증하는데 재외공관 인력과 예산은 부족해 현장 대응이 늦어지고 있어, 제도 개선과 지원 강화가 시급하다는 것이다.

 

[ 경기신문 = 안규용 기자 ]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