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는 반도체·바이오·인공지능(AI) 등 미래기술 분야 전문인력 500명 양성을 위한 ‘2025년 미래기술학교 운영 지원사업’을 추진한다고 13일 밝혔다.
이날 도에 따르면 도는 ‘4차 산업혁명’·‘탄소중립’ 등 변화하는 산업수요에 대비하기 위해 미래기술학교를 운영하고 있다.
앞서 미래기술학교는 화성시에 소재한 경기도기술학교에서 운영해 왔으나 도는 지역 고용문제 해소를 위해 지난해부터 시군에서 시행하는 것으로 변경했다.
올해 사업을 추진하는 시군은 수원·용인·화성·성남·파주·평택·양주·고양·시흥 등 9곳이며, 총 500명의 전문인력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지난달 17일부터 순차 개강 중인 시군별 미래기술학교 교육 과정을 보면 성남시는 가천대·한국폴리텍대·서강대와 협력해 시스템반도체 설계(팹리스) 과정 등에서 120명을 양성하고 있다.
또 파주시는 대한상공회의소 경기인력개발원과 협력해 세미콘설계 20명을, 용인시는 경희대와 협력해 메타버스·실감미디어 20명을 각각 교육하고 있다.
한편 15세 이상 미취업 도민이면 교육에 참여할 수 있으며 교육기간은 2개월부터 8개월 과정까지 자격증 취득 난이도에 따라 다르게 운영된다.
교육비는 무료이며 훈련수당(월 80% 이상 출석 시)·해당 분야 자격증 취득비를 지원한다.
자기소개서 작성방법과 면접 기술 등을 포함해 취업까지 연계 추진하며 자세한 사업내용은 시군 누리집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배진기 도 일자리경제정책과장은 “사업체에서 필요로 하는 미래기술 분야의 인재를 지역에서 직접 양성해 산업 경쟁력을 높이고 청년 등 지역 인재의 일자리 기회를 넓히는 데 힘쓰겠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나규항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