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북부지역에는 화장장이 한곳 밖에 없다. 고양시에 있는 서울시립승화원이다. 이름만 보아도 알 수 있듯이 서울시가 운영하는 시설이다. 고양시를 제외한 다른 지역 주민들은 혜택이 없어 이용하기가 쉽지 않다. 다른 북부지역 주민들은 성남, 수원, 화성, 용인 등 남부지역 화장장을 이용하거나 강원도 춘천, 또는 인제까지 가야한다. 타 지역의 화장시설 이용료는 해당지역 주민보다 훨씬 비싸다. 경제적, 시간적 손실이 크다.
따라서 예전부터 북부지역 지방정부들은 독자적으로, 또는 인근 시‧군과 함께 광역장사시설을 건립하려는 움직임을 보였다. 최근 양주시는 양주·남양주·의정부·구리·포천·동두천시 등 6개시 합의로 공동형 종합장사시설 건립에 나섰다. 백석읍 방성리 산75 일원 89만㎡·2092억 원 규모의 장례식장, 화장시설, 봉안당, 수목장림, 자연장지 등 종합장사시설을 지을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공동형 장사시설 건립사업은 주민들 간에 찬반의견이 의견이 분분하게 일고 있어 난관에 봉착했다. 공동화장장 건립 추진을 반대하는 경기도청원이 1만 건을 넘어섰다.(관련기사: 경기신문 8일자 1면, ‘양주 화장장 반대 청원 1만 건’)
청원인은 “양주시 중심에 건립예정인 공동형종합장사 시설 설치 계획을 양주시가 전면 철회할 수 있게 해 달라”고 요구했다. “양주시민은 장사시설의 필요성을 충분히 인식하고 있지만 설치 위치는 주거 밀집지역이 아닌 외곽, 비거주 지역으로 재검토돼야 한다”는 것이다. 앞서 양주시는 대체지를 제안하면 검토하겠다고 밝힌바 있다. 당초 계획대로면 오는 2030년 준공을 목표로 올해 하반기부터 설계, 2027년 착공할 예정이었다.
연천군의 경우 2010년 종합장사시설 건립 계획을 밝힌 바 있다. 2012년까지 300억 원을 들여 5만~10만㎡에 화장로 4기, 봉안당 2500기, 자연장지 1만1250기와 주차장, 판매시설, 화장실, 공원 등 편익 시설도 갖춘 종합장사시설을 건립하겠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군수를 위원장으로 한 종합장사시설 건립 추진위원회를 구성했으며 건립 후보지 공모도 시작했다. 후보지로 선정된 지역에는 식당과 매점 등 편익시설 운영권, 30억 원 이내에서 주민숙원사업 지원 등 인센티브를 부여할 계획까지 세웠다. 하지만 건립사업은 순조롭지 않았다.
연천군은 종합장사시설 건립사업을 재추진하고 있다. 공동형 종합장사시설 건립 추진위원회를 구성, 여러 차례 회의를 진행했으며 종합장사시설 건립 부지로 신서면 답곡리 일대 32만㎡를 최종 선정했다. 2028년 초 공사를 시작해 2029년 말 완공하겠다는 계획이다. 연천군 관계자는 연천에 제3현충원이 건립되고 있어 25만∼30만㎡ 규모의 종합장사시설을 건립해 연계하면 지역경제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구리시, 포천시도 종합 장사시설 건립을 백지화했다. 지역 주민의 반대가 거셌다. 양평군의 경우도 애로를 겪고 있다. 군은 지난 2월 1일부터 4월 30일까지 종합장사시설 건립 후보지를 공개모집했으나 신청 마을이 없었다. 이에 따라 공개모집 재공고를 했고 지평면 월산4리가 주민 등록 세대주 63%의 동의를 얻어 유치신청서를 제출했다. 건립추진위원회를 통해 1차 서류심사 심의를 통과했으며 다음 단계인 건립 후보지 입지 타당성 조사 용역을 앞두고 있었다.
그러나 10월 20일 화장시설 건립반대 주민들로 구성된 비상대책위원회에서 동의서를 받는 과정에 문제를 제기하면서 난관에 봉착했다. 마을 간 대립과 갈등이 심화됐다. 결국 월산4리 유치위원회는 철회할 수밖에 없었다. 화장시설이 꼭 필요한 시설이지만 주민화합이 우선이라고 생각해 중단을 결정했다.
화장장을 포함한 종합장사시설은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나 가장 큰 고민거리는 주민들의 수용문제와 건립 자금문제다. 특히 장사시설들이 수익성 부족에 따른 애물단지로 전락할 수도 있다. 이런 우려를 불식하기 위해서 공동 추진 방안을 모색하는 것은 권장할 만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