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31 (목)

  • 구름많음동두천 31.2℃
  • 구름많음강릉 30.1℃
  • 구름많음서울 33.4℃
  • 구름조금대전 33.1℃
  • 구름조금대구 31.8℃
  • 구름조금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1.5℃
  • 맑음부산 31.8℃
  • 맑음고창 33.2℃
  • 구름많음제주 30.4℃
  • 구름많음강화 30.5℃
  • 맑음보은 30.3℃
  • 맑음금산 31.1℃
  • 맑음강진군 31.7℃
  • 구름조금경주시 32.5℃
  • 맑음거제 29.8℃
기상청 제공

대우건설, 개포우성7차에 침수·화재 막는 안전한 설계 제안

대지레벨 최대 4.5m 높여 평평한 부지 형성
소방차 동선 확보, 전기차 화재 대비 설비 등 구축

 

대우건설이 입찰에 참여 중인 서울 강남구 개포우성7차 재건축 사업에서, 폭우와 화재 등 재난 상황에 철저히 대비한 안전 설계를 앞세워 ‘안전단지의 새 기준’을 제시하고 나섰다.


대우건설은 “점점 대형화·고급화되는 재건축 시장에서 단순한 외관보다 중요한 것은 구조와 안전”이라며 “개포우성7차를 침수 제로, 화재 제로에 도전하는 단지로 조성하겠다”고 30일 밝혔다.


대우건설은 집중호우에 대비해 개포우성7차 단지의 지형 특성부터 면밀히 분석했다. 단지 동측이 인근 중동고 부지보다 낮게 형성돼 빗물 유입 가능성이 있는 점을 감안해, 단지의 지반을 최대 4.5m 상향 조성하고 단지 전체를 평탄하게 재구성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인근 단지의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원천 차단함은 물론, 자체 배수 체계를 갖춘 독립형 대지 구조로 침수 피해를 차단하겠다는 구상이다. 이는 인근 ‘디에이치자이’가 유사한 이유로 일부 대지를 들어올렸던 전례와 유사하다.


대우건설은 화재에 대비한 비상차로 동선도 철저히 신경써 배치했다. 특히, 8개동 모두 필로티를 적용해 단지를 하나의 큰 공원으로 조성하면서도 모든 동으로 접근이 가능하도록 지상 비상차로를 계획했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최근 신축아파트 트렌드 중 하나로 주차장이 모두 지하로 내려가며 지상 전체를 공원하는 추세인데, 이로 인해 일부 동이나 라인의 경우 소방차가 진입할 수 없는 동선이 만들어지는 경우가 생긴다”며 “대우건설은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지상전체 공원화와 더불어 모든 동, 모든 라인에 소방차가 접근할 수 있는 안전친화적 동선을 완성했다”고 전했다.


이외에도 대우건설은 최근 큰 이슈가 되고 있는 전기차 화재에 대비한 다양한 설비들까지 꼼꼼히 제안했다. 화재 발생전 발생하는 연기부터 차단하는 제연경계벽이 가동되며, 화재 발생시 차량하부의 배터리를 급속 냉각시키기 위해 특수제작된 소화장치인 하부주수 관창를 배치했다. 그리고 차수판을 통해 침수 피해뿐 아니라 전기차화재 확산을 예방하며, 마지막으로 이동식 수조를 통해 배터리의 열을 급속도로 떨어트린다는 계획이다.  


아파트의 규모, 층수, 구조물들이 점점 대형화되고 있는 재건축사업에서 별도의 구조 설계 안정성 확보를 위한 대우건설의 노력도 돋보인다. 대우건설은 앞서 개포우성7차를 위한 월드클래스 9인의 콜라보레이션을 공개한 바 있는데, 구조 설계 파트에서는 42년간 전세계를 무대로 다양한 프로젝트를 수행한 유럽 최고의 구조 엔지니어링 전문가 그룹인 독일 ‘BOLLINGER+GROHMANN(볼링거 앤 그로만)’ 그룹의 참여를 공식화했다. 


대우건설은 볼링거 앤 그로만 그룹의 구조 검토 및 자문을 통해 ‘써밋 프라니티’의 안전성을 검증 받을 뿐만 아니라, ▲내진1등급 기준 설계 ▲한국 건축 법규 및 국제 건축 기준 ▲미국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특별기준까지 적용하는 등 안전대비 설계에 공을 들였다. 특히 단지 고급화 및 랜드마크 기준인 스카이브릿지 도입을 위해 구조, 바람, 열, 적설하중까지 검토를 마친 상태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개포우성7차를 화려한 외관이나 웅장한 구조물은 물론이고 거주자들의 안전까지 각별히 신경 쓴 진정한 랜드마크 주거공간으로 만들 준비를 마쳤다”며 “구조 안전성 뿐만 아니라, 침수·화재까지 꼼꼼하게 고민한 대우건설의 진심을 조합원분들께 전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설명했다. 

 

[ 경기신문 = 오다경 기자 ]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