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상반기 전국 주택 공급 지표가 일제히 뒷걸음질쳤다. 수도권 주택시장이 회복 기미를 보이고 있지만, 지방 시장은 더 깊은 침체에 빠지면서 ‘공급 양극화’가 뚜렷해지고 있다.
31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025년 6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올해 1~6월 전국 주택 인허가 물량은 13만 8456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7.6% 감소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7만 3959가구로 22.7% 증가한 반면, 지방은 6만 4497가구로 28.0% 급감했다.
착공과 분양도 부진했다. 상반기 주택 착공은 10만 3147가구로 1년 전보다 18.9% 줄었다. 수도권(6만 5631가구)은 8.1% 감소, 지방(3만 7516가구)은 무려 32.8% 줄며 낙폭이 컸다. 다만 6월 한 달만 놓고 보면 수도권 착공이 전월보다 152.1% 급증해 대조를 이뤘다.
분양은 더 크게 줄었다. 상반기 분양 주택은 6만 7965가구로 39.6% 감소했다. 수도권은 18.4%, 지방은 56.7% 각각 줄었다. 특히 서울의 경우 6558가구가 분양돼 전년 동기 대비 20.3% 감소했다.
준공 역시 전체적으로 감소세를 보였다. 상반기 전국 준공 물량은 20만 5611가구로 6.4% 줄었다. 수도권(10만 1044가구)은 9.2% 증가했지만, 지방(10만 4567가구)은 17.7% 줄어들며 전체 수치를 끌어내렸다. 서울은 아파트 준공이 2만 9420가구로 102.9% 증가해 뚜렷한 회복세를 보였다.
한편 6월 말 기준 전국의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2만 6716가구로 전월보다 297가구(1.1%) 줄었다. 이는 2022년 7월 이후 23개월 만의 감소세다.
거래는 반등세를 보였다. 6월 전국 주택 매매는 7만 3838건으로 전월보다 17.8% 증가했다. 서울의 경우 3월 토지거래허가구역 확대 여파로 4~5월 거래가 주춤했지만, 6월 들어 9091건이 거래되며 전월 대비 42.1% 급증했다.
[ 경기신문 = 오다경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