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7 (목)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학생 중심' 교육 외치지만…위기 학생은 여전히 사각지대

형식적 자치 머문 참여…정작 필요한 학생은 배제
"교사 개인 역량에 기댄 시스템, 이제는 바뀌어야"

 

'학생 중심 교육'이 교육당국의 핵심 철학으로 자리 잡은 지 수년이 흘렀지만, 정작 도움이 필요한 학생은 여전히 제도 밖에 머물고 있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7일 경기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교육부와 각 시도교육청은 그간 위(Wee)클래스 내실화, 학생 자치 활성화, 학생 참여 확대 등을 골자로 한 제도 개선에 나서왔다. 참여의 주체를 교사나 행정 중심에서 학생 중심으로 전환하려는 취지다.

 

일부 학교에서는 실제로 자치회 활동, 예산 집행, 자체 정책 제안 등 학생 주도 활동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현장에서는 여전히 참여가 '형식'에 그친다는 평가가 나온다.

 

특히 정서적 어려움을 겪거나 또래 관계 형성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의 경우, 자치 활동 참여 자체가 어렵고 이들을 위한 상담 체계 역시 충분히 작동하지 않는 실정이다.

 

수원의 한 중학교 교감은 "자치 제도에는 학교 부적응 학생의 적응을 돕는 목적도 포함돼 있지만, 상담을 회피하는 학생에게는 제도적 접근이 사실상 불가능한 구조"라고 말했다.

 

이처럼 위기 학생을 위한 지원 체계는 여전히 교사 개인의 역량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상담 인력이 부족한 데다, 연계 기관의 전문성도 한계가 있으며 보호자의 동의가 없으면 외부 지원이 중단되는 점 역시 현실적인 벽으로 작용한다.

 

경기 지역 한 상담교사 A씨(35)는 "'위기 학생을 얼마나 발굴하고 지원하느냐’는 결국 교사의 의지와 노력에 달려 있다"며 "현 시스템은 교사의 책임에 과도하게 의존하고 있어 구조적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같은 한계 속에서 일선 교육현장에서는 정책 방향보다는 '실행 구조의 정교화'가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학생 중심 교육'이라는 명분만 앞세우기보다, 위기 학생을 포함한 모든 학생이 자치에 참여하고 주도성을 갖출 수 있도록 기초부터 다시 설계해야 한다는 것이다.

 

A씨는 "진정한 학생 중심 교육은 모든 학생의 참여에서 출발한다"며 "위기 학생도 배제되지 않도록 전문 인력을 확충하고, 학교 전체가 공동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 경기신문 = 박민정 기자 ]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