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7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본관에서 첫 공식 회동을 갖고, 한국 경제의 재도약과 구조개혁을 위한 협력에 뜻을 모았다.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거시경제 투톱이 직접 만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서울대 경제학과 선후배 사이인 두 사람은 이날 면담에서 경제 현안 전반에 대해 논의하고, 정책 공조의 필요성에 깊이 공감했다.
구 부총리는 “우리 경제가 녹록지 않다”며 “장기 성장률이 하락하는 근본 원인은 실력 부족에 있고, 실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모든 경제 주체의 협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기재부는 유망한 혁신 아이템을 발굴하고 선택과 집중 전략을 통해 노동 생산성, 투자, 기술 향상을 도모하겠다”며 “이 과정에서 총재님과 상의하고 협력하겠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관세 협상 성과에 감사를 표하며 “이번 협상 결과로 8월 통화정책방향 결정에 큰 부담을 덜게 됐다”며 “관세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다면 통화정책 운영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한국은행도 싱크탱크로서 기재부와 적극 협력하겠다”며 “특히 구조조정 분야에서 정책 대안을 제시하면서 초기에 논란이 있었지만, 지금은 한은의 역할을 인정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기재부가 정책 수요의 가장 큰 축인 만큼, 한은의 연구 성과 중 유용한 부분을 잘 활용해 주시면 연구자들도 보람을 느낄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날 면담은 지난 6월 중순 열린 F4 회의(거시경제·금융 현안 간담회)에 이어 경제 수장 간 처음 이뤄진 만남이다.
면담 직후 구 부총리는 F4 회의 법제화 여부에 대한 기자들의 질문에 “조직 개편에 따라 F4가 될지 F3가 될지는 상황을 보면서 결정할 것”이라며 “형태보다 중요한 건 지속적인 소통과 공감, 그리고 원팀으로 움직이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올해 1% 성장률 달성 가능성에 대해선 “최선을 다하겠다”고 짧게 답했다.
[ 경기신문 = 오다경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