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1 (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윤건희 시대의 종말...KB·도이치 12년간의 흑역사

윤종규 전 회장부터 시작된 악연, 양종희 회장에서 끝나

 

KB금융그룹과 도이치모터스가 2013년 도이치파이낸셜 설립을 시작으로 12년간 긴밀한 협력 관계를 이어오며, 단순 금융 지원을 넘어 정치권과의 연결고리 의혹까지 불거지고 있다. 특히 KB금융 출신 인사들의 도이치모터스 핵심 경영진 합류와 대규모 자금 지원, 김건희 여사 측근 인사와의 연결 정황이 겹치면서 금융과 권력의 유착 문제로 비화하는 양상이다.

 

11일 경기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2013년 7월 KB국민은행은 도이치파이낸셜 설립 당시 30억 원을 투자해 12.5% 지분을 확보했다. 초대 대표로 KB국민은행 부행장 출신인 김재곤 씨가 선임되면서 금융권 안팎에서는 “KB 출신 인사가 도이치의 금융 플랫폼을 설계했다”는 평가가 나왔다. 김 전 대표는 도이치모터스 권오수 대표와 고려대 MBA 동문으로 알려져 있다.

 

도이치파이낸셜은 자동차 금융 시장에서 신차·중고차 금융을 중심으로 성장 기반을 닦았고, KB금융은 이를 발판으로 관련 시장 점유율을 넓혔다.


2017년에는 수원 도이치오토월드 개발 과정에서 KB부동산신탁이 3800억 원 규모 차입형 토지신탁을 맡았다. 김재곤 전 대표는 금융·부동산·보험 자원을 연결하는 핵심 가교 역할을 수행했다. 2020년 KB캐피탈은 도이치파이낸셜 유상증자에 100억 원을 투자했고, 2024년에는 도이치 계열사 브리티시오토에 286억 원 규모 연대보증을 제공하는 등 협력 관계는 더욱 확대됐다.

 

2025년에는 KB손해보험과 손해사정이 도이치 자회사 ‘차란차’와 보험청구 시스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며 전 계열사 차원의 협력망이 완성됐다.

 

특히 황수남 전 KB캐피탈 대표이자 현 도이치파이낸셜 대표가 2023년 8월 IMS모빌리티 주식 20억 원어치를 매입한 사실이 드러났다. IMS는 김건희 여사의 측근 김예성 씨가 운영하는 렌터카 회사로, 과거 주가조작 의혹에 휘말린 바 있다. 특검은 황 대표의 IMS 주식 매입 경위를 집중 조사 중이다. 황 대표는 “김건희 여사와 김예성 씨를 전혀 알지 못한다”고 선을 그었지만, KB캐피탈이 2020년에도 도이치파이낸셜 유상증자에 투자하는 등 두 회사와의 연결고리가 상당하다.


KB금융과 도이치모터스는 캄보디아를 비롯한 동남아 시장에서 합작 계열사를 설립하며 해외 진출에도 협력하고 있다. 이는 정부의 메콩 경제협력 강화 정책과 맞물린 전략으로 평가된다.


윤종규 전 KB금융 회장은 재임 중 정치·사법 리스크에 대응하기 위해 도이치모터스 등 고위험군 기업과 장기간 협력 관계를 유지·확대한 것으로 분석된다. 윤 전 회장은 취업비리 의혹과 가족 사건 등으로 정치적 위기를 겪었으며, 윤석열 당시 검찰총장과 배우자 김건희 여사와 연결된 기업과의 유착이 ‘방패막이’ 역할을 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현재 윤 전 회장은 KB금융 고문직을 맡고 있어 여전히 그룹 내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 뒤를 이어 2023년 취임한 양종희 현 KB금융 회장 역시 윤 전 회장과의 연관성이 깊은 인물로 평가되면서, 도이치모터스와의 협력관계 유지에 일정 부분 영향력을 미친 것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된다.

 

이번 특검 수사에서 김건희 여사가 도이치 주가조작 과정에서 8억 원 상당 부당이득을 챙긴 사실이 확인됐지만, KB금융이 위험도가 높은 도이치모터스와 밀착 관계를 이어간 배경에는 ‘권력 친화적 행보’가 작용했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다.

 

금융 전문가들은 “정치권과 금융사의 밀착은 단기적 이익을 좇지만 금융시장 신뢰와 투명성에 치명적인 위험을 초래한다”며 “이번 사건은 금융과 권력 유착의 민낯을 드러낸 사례”라고 지적했다.

 

특검과 금융당국의 철저한 진상 규명이 이어질 경우, KB금융과 도이치모터스 간 12년 밀착 관계는 단순한 사업 파트너십을 넘어 권력과 금융이 결탁한 구조적 문제로 확대될 전망이다.

 

[ 경기신문 = 오다경 기자 ]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