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파트 미분양 문제가 공공분양 주택으로까지 확산되고 있다. 최근 집계된 미분양 공공분양 물량만 2800여 가구에 달하며, 일부 단지는 분양 공고가 난 지 8년이 지나도록 여전히 주인을 찾지 못하고 있다.
20일 한국토지주택공사(LH)에 따르면 올해 5월 기준 공공분양 미분양 주택은 총 2812채로 집계됐다. 지난해부터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지만, 지방을 중심으로 여전히 심각한 수준이라는 분석이다.
대표 사례로 경북 영천문외 센트럴타운은 2017년 분양 공고 이후 2020년 입주를 시작했지만 현재까지 49가구(10.1%)가 남아 있다. 울산다운2 A-9단지는 전체 835가구 가운데 751가구가 미분양으로, 입주 시작 두 달 만에 미분양률이 90%에 달했다.
수도권도 상황이 녹록지 않다. 인천·경기 지역 미분양 물량은 총 752가구로 전체의 4분의 1 이상을 차지한다. 인천 영종 A60, 경기 양주회천 A24, 평택 고덕 A-53 단지는 2022년 공고 이후 지금까지 분양이 마무리되지 않았다.
정부는 지난 14일 ‘지방 건설투자 보강 방안’을 발표하며 대응에 나섰다. LH 매입 물량을 3000가구에서 8000가구로 확대하고, 매입가 기준도 감정가의 90%까지 상향 조정했다. 또한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준공 전 미분양 환매 시 취득세를 면제하고, 기업구조조정 리츠(CR리츠) 관련 양도세 부담도 줄이기로 했다.
다만 시장에서는 정책 효과에 회의적인 시각이 적지 않다. 한 부동산 전문가는 “지방은 인구 유출로 주택 수요 자체가 줄어든 상황에서 공급을 과거 계획대로 밀어붙인 결과”라며 “특히 지방 중소도시는 교통·생활 인프라가 취약해 실수요자들이 외면하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 경기신문 = 오다경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