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G화학이 토요타그룹 계열사 토요타통상과 협력해 양극재 글로벌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낸다. 토요타통상이 구미 양극재 공장 지분 25%를 인수하며 2대 주주로 합류했고, 이를 통해 LG화학은 미국 IRA 규제에 대응할 수 있는 안정적 체제를 구축하게 됐다.
9일 LG화학(부회장 신학철)은 토요타그룹의 종합상사인 토요타통상이 구미 양극재 공장(LG-HY BCM) 지분 25%를 확보해 2대 주주로 참여했다고 밝혔다. 토요타통상은 토요타 자동차의 원자재 조달을 담당하는 핵심 기업으로, 이번 합류를 통해 구미 공장에서 생산되는 양극재는 북미 배터리 고객사에 공급될 예정이다.
이번 지분 구조 개편으로 LG화학은 51%, 토요타통상 25%, 화유코발트 24%를 보유하게 됐다. 이로써 최근 개정된 PFE(Prohibited Foreign Entity) 기준을 충족해 미국 IRA 세액공제 규제에 대응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구미 양극재 공장은 연간 6만 6000톤 규모의 생산능력을 갖추고 있으며, 전구체 없이 맞춤 설계된 메탈을 소성하는 전구체 신공정 양극재(LGPF: LG Precursor Free)를 적용해 세계 최고 수준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LG화학은 청주, 구미, 2026년 하반기 가동 예정인 미국 테네시, 중국 우시 등 글로벌 주요 거점을 통해 안정적인 공급망을 운영하며 고객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LG화학은 이미 글로벌 완성차와 대형 계약을 잇따라 체결했다. 2023년에는 토요타 북미 제조법인과 2조 9000억 원 규모의 계약을 맺었고, GM 전기차 약 500만 대에 해당하는 25조 원 규모의 계약도 체결했다. 올해 9월에는 토요타와 파나소닉의 합작사 프라임 플래닛 에너지 & 솔루션(PPES)에 양극재 공급 계약을 수주했다.
신학철 LG화학 부회장은 “토요타통상의 지분 참여는 글로벌 시장에서 LG화학의 양극재 공급 경쟁력을 강화하는 중요한 전환점”이라며 “세계 최고 수준의 제품과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글로벌 배터리 소재 시장 리더십을 더욱 공고히 하겠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오다경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