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유일 유기·방치 야생동물 보호시설인 국립생태원이 지난해 1월 개원한지 2년 만에 포화 상태에 이른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김주영(민주·김포갑) 의원이 21일 국립생태원으로부터 받은 ‘생태원 유기·방치 야생동물 보호시설 사육 공간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야생동물 보호공간이 내년 2월경 포화 상태에 이를 것으로 예측됐다.
국립생태원 유기·방치 야생동물 보호시설은 국내 유일한 시설이며, 지난 15일 기준 보호 중인 동물은 총 37마리(라쿤 35마리, 미어캣 1마리, 여우 1마리)다.
이중 ‘생태계 위해우려종’으로 지정돼 격리 보호가 반드시 필요한 라쿤은 안전 관리 차원에서 공간당 최대 8마리만 수용할 수 있어 최대 48마리까지가 한계다.
하지만 내년 2월에는 49마리로 시설 수용 한도를 초과할 것으로 예측된다.
또 2023년 ‘동물원법’ 개정으로 동물원·수족관 설립 기준이 등록제에서 허가제로 강화돼 5년 유예기간이 끝나는 오는 2028년 이후 허가제 요건을 충족하지 못한 소규모 동물원·동물카페는 상당수 폐업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2021년 환경부의 실태조사에 따르면, 동물원 외 전시업체(카페형, 체험동물원, 체험농장, 부대시설)는 총 240개소로 보유 야생동물은 262종 5043마리에 달해 상당수가 무단 방치되거나 유기될 가능성이 우려된다.
현재 국립생태원은 보호공간 확대를 위한 추가 사육시설 건립을 검토 중이나 예산 확보는 아직 이뤄지지 않은 상황이다.
김 의원은 “생태계 안전과 동물복지를 위해 보호시설 포화에 따른 대책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 경기신문 = 한주희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