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23 (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시민 손으로 만든 도시의 초록빛 변화… 광명형 도시재생 ‘그린라이트 광명’

도시재생 총괄기획단·주민협의체·추진단 등 시민참여, 민관협치 거버넌스 구축
지역별 도시재생현장지원센터로 주민 참여 기반, 역량 강화…지역 자산으로 확장
기후위기 대응 담은 탄소중립형 도시재생 모델로 발전

 

광명시가 시민참여와 민관협치, 탄소중립을 융합한 새로운 도시재생 정책 브랜드 '그린라이트 광명(Greenlight 光明)'을 선보였다.

이상우 신도시개발국장은 23일 시청 중회의실에서 정책브리핑을 열고, '그린라이트 광명'을 중심으로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의 청사진을 제시했다.

'그린라이트 광명'은 신호등의 녹색 불이 지닌 긍정적 의미와 함께 '빛의 도시 광명', '탄소중립의 상징색 그린', '시민과의 공감과 허락'을 상징한다. 이는 도시를 변화시키는 주체가 행정이 아닌 시민임을 보여주며, 도시재생의 새로운 방향성을 담아냈다.

시는 도시재생 총괄기획단·주민협의체·추진단으로 이어지는 민관협치 체계를 구축했다. 총괄기획단은 시장과 민간 전문가, 시민참여단이 함께하며 정책의 실행력을 높이고 있다. 주민협의체는 마을 현안을 주민 스스로 논의·해결하는 구조를 만들고 있으며, 추진단은 이를 행정적으로 뒷받침한다.

특히 각 지역의 도시재생현장지원센터는 교육·축제·회의 등을 통해 주민 역량을 키우고, 공동체 활동을 돕는 역할을 하고 있다. 광명3동 무지개 마을관리 사회적협동조합은 대표 사례다. 주민 문화교육, 제로웨이스트 축제 등으로 공동체 활성화와 친환경 실천을 이끌었으며, 국토교통부 인가를 받은 후 비영리법인으로 성장했다.

시는 도시재생의 목표를 물리적 환경 개선에만 두지 않았다. 기후위기 대응이라는 시대적 과제를 반영해 탄소중립 도시재생 모델로 발전시켰다. 2023년 소하2동 사업이 경기도 '더드림 도시재생사업'에 선정돼 18개월간 ▲청소년·어르신 기후 대응단 운영 ▲정원 가꾸기 교육 ▲노후주택 에너지 개선 ▲스마트 재활용 시스템 도입 ▲골목 숲 조성 등 다양한 사업을 추진했다.

청소년 206명으로 구성된 '기후화랑단', 어르신 20명이 참여한 '탄소중립 실천단'은 주민 주도의 기후 대응 활동을 직접 기획·실행하며 지역 변화를 이끌었다. 생활권 녹지 확충, 자가발전 운동기구 설치, 친환경 프로그램 운영 등도 주민 참여로 이뤄졌다.

이 성과로 시는 최근 '2025 대한민국 도시·지역혁신대상' 도시환경·경관 부문에서 행정안전부 장관상을 수상했다. 또한 광명3동은 '경기도 더드림 도시재생사업' 지속운영단계에 선정돼 '그린라이트 광명' 모델을 본격 확산할 계획이다.

2026년부터 2028년까지 추진되는 광명3동 도시재생은 ▲탄소중립 골목 조성 ▲무지개 돌봄사업 ▲주민참여형 플랫폼 '탄소로운 팝업사업' 등을 통해 시민 주도형 도시재생을 실현한다.

시는 앞으로도 도시재생 거버넌스를 강화하고, 주민 탄소중립 역량을 키우며, 생활 속 기후 대응 프로그램을 확대할 방침이다.

 

[ 경기신문 = 김원규 기자 ]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