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주시가 ‘지속가능한 도시의 길’을 주제로 전국 지방정부와 포럼을 진행했다.
이번 포럼은 실천 중심의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하겠다는 의지가 구체화됐다.
21일 광주시 평생학습관에서 열린 ‘2025년 지속가능발전 지방정부 정책포럼 IN 광주’는 토론을 넘어 정책 협력과 실행의 거점이 될 전망이다.
시와 지속가능발전지방정부협의회가 공동 주최하고, 이클레이(ICLEI) 한국사무소가 협력기관으로 참여해 국내외 도시 간 지속가능발전 교류를 확장했다.
이번 포럼의 핵심은 ‘지방정부가 주도하는 지속가능발전’으로 기후위기, 인구감소, 지역 불균형 등 복합적 위기를 해결하기 위한 지방정부의 역할과 책임이 강조됐다.
먼저 ‘지방정부 지속가능발전 정책 2025, 그리고 5년의 과제’를 주제로 발표와 토론이 진행된다.
전문가들은 기후적응형 도시 구조 개편, 시민참여형 거버넌스, ESG 기반 행정혁신을 주요 과제로 꼽았다.
포럼은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지역 단위 실천전략이 필요하다는 데 의견이 모였다.
특히 이번 포럼은 중앙정부 주도가 아닌, 지방정부의 자율적 혁신 모델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한 참가자는 “이제는 국가가 아니라 지역이 변화의 주체가 되어야 한다”는 메시지를 남겼다.
오후 ‘지속가능한 지방정부, 지속가능한 미래’를 주제로 한 토크콘서트가 열렸다.
지속가능발전지방정부협의회장과 이클레이 한국사무소장, 문태훈 교수 등이 참여해 도시정책과 환경, 지역경제를 아우르는 종합적 해법을 제시했다.
참석자들은 “행정이 주도하는 정책이 아니라, 시민과 함께 만들어가는 도시 비전”에 깊은 공감을 보였다.
또한 ‘스펙트럼 대화’ 세션과 산림박람회 현장 방문 프로그램을 통해 광주시가 추진 중인 생태도시 실천 사례가 공유되며, 지속가능발전의 실제 현장을 체험하는 시간도 마련됐다.
방세환 광주시장은 “지속가능한 미래는 지역이 주도하고 시민이 함께할 때 가능하다”며 “이번 포럼이 대한민국 지방정부 정책의 전환점이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어 “광주는 산림·환경·교육·복지 등 모든 정책을 지속가능발전의 틀 안에서 재정비하고 있다”며 ‘실행 중심 도시’로의 도약 의지를 강조했다.
[ 경기신문 = 김태호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