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에 30분씩 걷는 게 이렇게 달라질 줄 몰랐어요.”
광주시의 한 어르신이 손목의 스마트밴드에는 걸음 수, 혈압, 혈당 기록이 차곡차곡 쌓여 있다.
광주시보건소가 지난 3월~10월까지 운영하는 디지털 건강관리 프로그램이 노년층의 건강 습관 형성과 만성질환 개선에 성과를 내고 있다.
시는 65세 이상 어르신 350명을 대상으로 인공지능(AI)과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접목한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를 도입했다.
참여자들은 스마트밴드, 혈압계, 혈당계 등으로 매일 건강 데이터를 측정했다. 보건소의 간호사·영양사·운동전문가가 이를 실시간 분석했다.
어르신들은 개인별 ‘건강 미션’을 부여받아 ▲30분 이상 걷기 ▲약 복용 ▲수분 섭취 등을 실천하며 인센티브도 받았다.
작은 습관이 반복되자, 큰 변화 나타나며 참여자의 주간 평균 걷기 일수는 확인한 결과 5.8일에서 6.8일로 늘었다.
고혈압 조절률은 35.1%에서 83.5%로, 당뇨병 조절률은 81.6%에서 91.7%로 급상승했다.
처음 ‘기계는 낯설다’던 어르신들은 어느새 스스로 건강을 기록하고 관리하는 주체가 됐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한 어르신은 “이젠 건강기기를 보는 게 즐겁다”며 “보건소 덕분에 내 몸을 스스로 돌보는 법을 배웠다”고 말했다.
조정호 광주시보건소장은 “AI 기반 건강관리 서비스가 어르신들의 자가 건강관리 능력을 높였다”며 “많은 시민이 혜택을 누리도록 사업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시는 프로그램 종료 후에도 참여자들을 방문 건강관리, 영양·운동 프로그램과 연계해 꾸준히 지원할 계획이다.
[ 경기신문 = 김태호 기자 ]



































































































































































































